거제시 시민소통플랫폼 함께거제

사이트맵

거제시 시민소통플랫폼 함께거제

정책제안

거제시의 정책과 행정운영에 대해 제안해주세요. 여러분의 목소리가 모여 정책이 됩니다.
  1. 제안 등록
  2. 제안 검토
  3. 공감도 조사
  4. 답변대기
  5. 답변완료

폭염 속 길거리 동물들을 위한 급수대 설치

김**

안녕하세요.

저는 경상남도 거제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입니다.

 

최근 이어지는 폭염으로 인해 많은 생명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특히 길고양이, 길강아지와 같은 길거리 동물들은 물을 구할 수 없어 열사병 등으로 폐사하는 일이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거제시는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아름다운 도시이자,

사람뿐 아니라 동물과도 더불어 사는 따뜻한 지역 공동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길거리 동물들을 위한 공공 급수대 설치를 정중히 요청드립니다.

 

급수대는 아래와 같은 장소에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주택가 골목 그늘진 공간
  • 마을 버스 정류장 주변
  • 공용 쓰레기장 뒤편
  • 공원 또는 산책로 주변 인적이 드문 위치 등

 

 

비용 부담이 크지 않으며,

단순한 그릇 형태의 급수대만으로도 큰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 내 봉사단체나 주민들과 협력하여 자율적으로 물을 갈아주는 방식으로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살기 좋은 거제시가 앞으로도 사람과 자연, 그리고 모든 생명이 함께 살아가는 도시가 되기를 바라며,

이번 제안을 검토해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답변]공감도 조사 결과 안내

  • 답변자 관리자
  • 답변일 2025-09-01

귀하의 소중한 제안 건에 대해 30일간의 공감도 조사 기간을 거쳤으나, 시민패널 50명 이상 공감 미달로 토론이 종료되었습니다.

제안해주신 건은 해당부서에 공유하여 관련 사업, 정책 추진에 시민의 목소리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거제시의 발전을 위해 제안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소통할거제'를 통해 시정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쓰기
  • 김○○
    공감합니다
    2025-08-25 14:15:08
  • 최○○
    공감합니다
    2025-08-22 11:26:23
  • 유○○
    관리가 중요하겠군요.
    2025-08-19 10:12:43
  • 노○○
    어울려사는 사회가 맞지만 주택가에 설치했을때 문제점도 생각해봤음 합니다
    2025-08-18 15:58:50
  • 이○○
    동물이 버려지지않았다면..급수대도 필요없을텐데.
    2025-08-15 08:20:13
  • 정○○
    공감합니다
    2025-08-14 13:29:25
  • 오○○
    공감합니다
    2025-08-12 21:09:54
  • 강○○
    지속적 관리 필요하다생각됩니다
    2025-08-12 06:48:35
  • 황○○
    공감합니다
    2025-08-11 18:10:40
  • 이○○
    공감합니다
    2025-08-11 18:02:41
  • 이○○
    공감합니다.
    2025-08-11 16:51:38
  • 김○○
    확인했습니다
    2025-08-11 15:48:13
  • 오○○
    확인했습니다
    2025-08-11 15:30:07
  • 박○○
    공감합니다
    2025-08-10 12:29:12
  • 김○○
    공감합니다
    2025-08-07 14:35:21
  • 정○○
    적극 공감합니다
    2025-08-07 12:03:08
  • 김○○
    공감합니다
    2025-08-05 13:31:23
  • 김○○
    공감합니다
    2025-08-05 10:10:50
  • 김○○
    공감합니다
    2025-08-05 10:07:08
  • 원○○
    완전 공감합니다.
    2025-08-05 03:34:08

더보기

콘텐츠 담당자

  • 담당자 거제시
  • 전화번호 055)639-3266

최종수정일 : 2025-08-04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