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안 등록
- 제안 검토
- 공감도 조사
- 답변대기
- 답변완료
걷는 즐거움 쉬는 편안함- 거제시민 맞춤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D-24 2025-09-08 ~ 2025-10-08
박**
"...산업디자인에서 공공디자인으로의 이행이 의미하는 것은 디자인이 물질에서 가치로 이행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가 넘어가는 국가의 특징이 바로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디자인으로 해결한다는 것이다. 경제 활성화, 국민 건강, 교통안전 등 거의 모든 사회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외국의 어느 지역에서 공공디자인을 통해 벤치를 200m마다 설치했다. 인구가 많은 것도 아니었다. 그런데 그렇게 벤치를 설치하자 노인들이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200m를 걸으면 쉴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노인들의 건강이 증진됐고 벤치 설치에 든 돈보다 많은 의료비를 아낄 수 있었다. 프랑스에서는 공공디자인 실험을 통해 보행자들이 거리를 마음껏 횡단할 수 있을 때 인근 가게 매출이 급상승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도심의 보행로를 늘리고 있다. 그런데 한국은 공공디자인 부문에서는 매우 후진국이다. 제품디자인 경쟁력이 4위인 반면 공공디자인에서는 77위이다. 다행히 국가와 지자체가 이제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을 깨닫기 시작했다..."
-최성호 한양사이버대 디자인학과 교수
거제시는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다양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지역 내 보행 활성화 측면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공공디자인 정책이 요구됩니다. 공공디자인은 단순한 시설물 제공을 넘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선진국 사례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실증적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해외의 고령화 지역에서는 벤치를 200m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노인들의 야외 활동이 증가하고 건강 상태가 개선되었으며, 벤치 설치에 따른 비용보다 의료비 절감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는 연구 자료도 읽어 보았습니다. WHO 또한 고령자 친화적인 도시 설계를 통해 노인의 외출을 촉진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참고삼아 거제시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건강을 증진하는 데 벤치 설치가 효과적이지 않을까 싶어 제안을 드립니다.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 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노인들이 편안하게 걸을 수 있는 환경까지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걷다가 쉴 곳이 있는 것만으로도 노인들의 야외 활동이 크게 늘어나 건강이 좋아지고 의료비가 절감된다는 해외 사례는 적극적으로 참고할 부분입니다.
유럽의 소규모 도심 실험에서는 보행자 친화적 공공디자인 도입 후 인근 상권 매출이 약 15% 증가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보행자 중심 거리 설계는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집니다. 거제시의 주요 보행로에 벤치를 설치하면 시민들의 보행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상권 활성화와 지역 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거제의 경사로가 많은 지형 특성을 고려하여 벤치를 설치하면 시민들에게 쾌적한 보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일단, 청소년수련관에서 거제시청, 백병원으로 이어지는 주요 보행로를 중심으로 200m 간격의 벤치를 시범 설치해보는건 어떨까요?
벤치 제작에는 재활용 플라스틱과 지속 가능한 목재를 활용하여 친환경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벤치마다 ‘거제시 녹색 보행로’ 등의 문구를 새겨 시민과 관광객에게 지속 가능한 생활방식을 홍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친환경적 접근은 거제시의 지속 가능한 도시 이미지를 강화하고, 지역 사회의 환경 의식을 높일수도 있습니다.
이번 벤치 설치 프로젝트는 단순한 편의 시설 제공을 넘어 시민 건강 증진,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 경쟁력 강화, 환경 보호까지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종합적 공공디자인 정책 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거제시가 이를 적극 추진함으로써 시민의 행복과 삶의 질 향상, 그리고 지역 발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이루기를 기대합니다.
댓글
-
박○○
확인합니다2025-09-13 10:32:59
-
심○○
공감합니다2025-09-11 22:00:07
-
김○○
공감합니다2025-09-11 17:33:45
-
정○○
공감합니다2025-09-11 13:34:52
-
강○○
공감합니다2025-09-11 12:43:29
-
이○○
공감합니다2025-09-11 11:55:01
-
윤○○
공감합니다2025-09-11 11:20:57
-
성○○
공감합니다2025-09-11 11:19:28
-
김○○
공감합니다2025-09-10 21:11:59
-
유○○
공감합니다2025-09-10 21:04:47
-
황○○
공감합니다2025-09-10 17:52:30
-
이○○
공감합니다2025-09-10 15:55:23
-
김○○
공감합니다2025-09-09 22:16:33
-
권○○
공감합니다2025-09-09 15:24:26
-
김○○
아이디어는 좋습니다. 다만 보행로 여건이 좋지 못한 곳에서는 설치가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2025-09-09 15:23:29
-
김○○
공감합니다2025-09-09 15:20:32
-
권○○
공감합니다2025-09-09 15:13:36
-
심○○
공감합니다2025-09-09 15:09:16
-
김○○
공감합니다.2025-09-09 14:19:02
-
김○○
공감합니다.2025-09-09 14:1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