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원하는 소통방식 조사
- 설문기간 : 2025-06-18 09:00 ~ 2025-06-22 18:00
😊 시민이 원하는 소통방식을 알려주세요 😊
1. 평소 거제시는 시와 시민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다.
- 매우그렇다
64.71% (297명)
- 그렇다
27.23% (125명)
- 보통이다
5.66% (26명)
- 아니다
1.74% (8명)
- 매우아니다
0.65% (3명)
- (총 459명 응답)
2. 소통할거제를 통해 시정참여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되었다고 느낀다.
- 매우그렇다
26.58% (122명)
- 그렇다
42.92% (197명)
- 보통이다
23.09% (106명)
- 아니다
6.32% (29명)
- 매우아니다
1.09% (5명)
- (총 459명 응답)
3. 가장 선호하는 소통방식을 선택해주세요.
- 행사를 통한 소통 방식 다수:다수(예시:토크콘서트 등)
16.12% (74명)
- 간담회 형식의 1:1소통 방식(예시:틈틈이반상회 등)
10.02% (46명)
- 온라인을 통한 소통 방식(예시:온라인신고창구, 국민신문고 등)
73.86% (339명)
- (총 459명 응답)
4. 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면 하는 것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항목 | 답변내용 |
---|---|
2 | 시민의사 개진을 할수 있는 기회 확대 |
4 | 온라인으로 시정 아이디어를 받고 일정기간 내 그에 대한 처리결과를 고개적으로 포스팅 (인스타그램 적극 활용 권장) |
9 | 뚝방길 입구 화장실 좀 만들어주세요. 공감을 50으로 설정하게 해서 안되면 상정도 안되는건가요. 제발 필요한 곳에 돈 씁시다. 한국인 질 좋은 일자리 만들어 주고 60살 넘는 사람들도 정년없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 만들어주세요. |
11 | 시미과의 소통공간 확대 |
12 | 친절하고 부서간의소통으로 시민들의 불편이없었으면좋겠다 |
15 | 의견이나 소통이 잘 될 수 있도록 요즘은 대면보다 온라인이 다수에게 편리하니 온라인으로 참여 할 수 있는게 다양하게 많아졌으면 합니다 |
16 | 면단위 대중교통을 장려활성하 하겠다면 버스ㆍ정류소 개선바람 등하교 학생들 중교 통학버스운행 |
18 | 고령층을 위한 전용 정책제안 창구를 별도로 마련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기존의 일반적인 정책제안 코너와 구분하여 '고령층 복지 제안' 같은 전용 창구를 운영하는 것만으로도, 거제시가 다가오는 초고령사회를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어르신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다는 의지를 시민들에게 보여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작은 배려와 관심의 표현이 어르신들로 하여금 더욱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
24 | x |
25 | 포인트를 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서 공유해주신다면 시민들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27 | 불편사항 신고창구 개선 |
29 | 작년부터 소통에 많이 신경쓰는거 같아 좋습니다 토크 콘서트도 좋았습니다 올해도 더 활성화 해주세요 |
32 | 버스노선 수정이나 증가가 필요해요 상동에서 아주동을 갈때 터널을 지나가면 잠깐 갈수 있는데 터널을 지나가는 버스가 없어서 돌아가게되면 한시간이 넘게 걸립니다 적극저인 교통계획이 필요합니다 |
36 | 주변에서 쉽게 접할수있는곳을 통한 소통창구/역할 운영 주말 등 맞벌이인원들이 소통할 수 있도록 운영 |
39 | 무료 강좌를 주기적으로 열었으면 합니다. |
44 | 민원 및 시정개선 의견을 제시했을때 전문적으로 도와줄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 |
45 | 오토바이 소음 단속 좀 해주세요 |
50 | 시민들의 요청사항에 대해 추가로 검토가 필요한 사항은 검토한 결과에 대해서도 피드백을 주었으면 함. |
53 | 중립적인 정치 방향으로 이뤄지는 시정 업무가 되길 바랍니다. 선거운동때 빼고는 시장님 보기가 힘든게 현실이고 기사가 아닌 시정뉴스 또는 알림으로 매일 업데이트 되는 거제 소식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
54 | 올라오는 의견은 많은데 어떤의견이 어디에 반영되서 이런게 진행되고 있다는건 전혀 알수가 없네요. 진행 상황이랄까, 여기 나오는 의견들이 실제 시정에 이런식으로 반영되고 있다, 또는 관리자나 권한이 있는 분이 보고있다는 반영을 볼수 있음 좋겠습니다. |
56 | 계약 방식의 공정성. 투명성 공유를 위한 시민 참여 |
58 | 거제 소통용 어플 개발하여 더 많은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개선 |
59 | 거제시에바란다 내용비공개 -> 내용공개 ( 다른사람들의 공동문제 해결방안 함께볼수있음) 작성자 비공개 댓글창열기 거제시청 답변은 상단 고정 더나은 차선책이나 이미 해결해본 사람들이 직접 팁을 줄수있음 시청에서도 시민들의 댓글을 보고 더 나은 방법 모색가능 |
68 | 시장님 당선되기 전 공약에 걸었던 것들 다 이행해주세요. 공약을 지키셔야 시정에 참여한 시민들 의견도 잘 들어주고 약속도 잘 지키실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
72 | 타부서 떠넘기기식답변과 두리뭉실한 답변으로 업무지연식 답변이 해를 거듭 반복됩니다. |
75 | 일자리지원 사업 |
80 | 항상 수고가 많으십니다 올라오는글들이 거제시에 꼭필요한 내용들이 많은데 그냥 지나치는 부분이 너무많아요 다는 아니어도 꼭필요한 부분은 개선이 되었음 합니다 소통하는 거제시 응원합니다. |
81 | 시정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크고 작은 기회나 자리(토크 콘서트나 강연, 야외 캠페인 행사 등)를 자주 마련하여 시민이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
89 | 적극적인 행정을 원한다 너무 수동적이다 |
92 | 아주동 거제용소초 통학로에 건립 될 외국인 근로자 기숙사 승인 철회 바랍니다. |
93 | 국민신문고 등 더 홍보하고 참여할수있는 다른 소통창구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94 | 1대1도 넘 좋지만 온라인으로라도 여러소리 많이 들어주세요!! |
97 | 정책안을 등록시켰는데 ᆢ채결여부 검토중등 결과답변을 주지않는다면 소통 하나마나란 소견입니다 |
100 | 시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주세요 |
101 | 시민의견을 쉽게 전달할수있는 온라인창구나 간단한앱 또는 문자참여시스템이 더 활성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의견 수렴 이후 실제 반영된 사례나 결과를 시민에게 공유해 주신다면 참여의 동기와 신뢰가 더 생길것 같습니다 |
102 | 민원시적극대응 |
105 | 홈페이지 민원 피드백 |
107 | 건의사항을 카카오톡을 통해 바로 등록될수 있도록 개선해주세요. |
109 | 온라인 소통 방식을 가장 편리하고 쉽게 시정 전반에 내용을 접할수있도록 소통의 장이 더욱 필요합니다. ->모마일을 통한 종합 정보 마당 같은것 |
113 | 토론의 장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114 | 여러시민이 알수있도록 소통방법을 좀더 홍보하는것이 필요한것같습니다 |
115 | . |
118 | 소통의 문턱이 높아서 의견이나 민원을 건의하는데 간혹 어려움이 있습니다. 시장님이든 부시장님이든 시민이 원하면 면담이나 통화라도 가능할 수 있는 창구가 마련되어 접근의 문턱이 낮아지길 소망합니다 |
120 | 아날로그식의 칭찬함, 건의함 등이 도서관, 동사무소 등등 공공시설에 있으면 좋겠어요 매번 온라인이나 폰으로 올리기 번거로울때가 많습니다. 레트로가 유행하듯, 옛날 방식을 다시한번 해보는것도 좋을것같아요! |
121 | 사소한 의견도 소중히 |
122 | 도내 홍보가 중요함 지역신문 및.우편 광고 |
132 | 거제시자체의 보편화된(쉽게접근) 온라인 창구 |
134 | 시민 참여도를높일수 있는 이벤트 좋을 듯 합니다 |
140 | 시장, 시의회의원 등 공직에 계신분들은 듣기좋은 소리보다 다른 이견이 있는 사람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일 줄 아는 열린 소통이 된다고 봅니다. |
141 | 지금까지 너무 좋습니다. 파이팅♡♡♡ |
142 | 현재 정책 제안 시스템에서 '공감 50'이라는 기준이 너무 높다고 느껴집니다. 모든 정책 제안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저 관련 부서의 답변을 받는 것인데, 굳이 '공감 50'을 넘어야만 답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솔직히, 모든 제안에 일일이 답변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정책 제안에 대한 기본적인 답변이라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처럼 '공감 50'을 넘어야만 답변을 받을 수 있다면, 이는 제안 채택 여부를 떠나 단순한 '답변'을 받기 위한 문턱으로는 너무나 높습니다. 오히려 '공감 50'이라는 기준은 정책의 실제 실행 여부에 대한 '적극 검토' 의견을 받을 수 있는 조건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요? 단순히 제안에 대한 답변을 듣는 것인데도 '공감 50'이라는 장벽이 있다면, 시민들이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도 정책 제안 자체를 망설이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시민 참여를 저해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
147 | 국민신문고 제안시 채택 및 불채택(참여제안 등) 시 시상금 대폭 증액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유도 검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148 | 행정만 하지말고 민원발생되면 혓장 가보고 주변에 물어보고 확인하고 개선하면 됩니다 |
149 | 직접 발품좀 파십시요. |
150 | 1:1 민원처리도 제대로 매끄럽게 안하고 있고,업무상 어찌지 못해 하는 척만 하고 피드백도 안주며 무사안일주의,보신주의,나태함과 게으름의 끝판왕이라고 해도 결코 지나친 표현이 아니다. |
155 | 감사합니다~ |
158 | 시민들은 잘 모르니까 조례 제정에 관한 의견 수렴 항목도 만들어주세요.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서 조례 제정을 만드는데 거제시 의회에 전달할 수 있게 만들어주세요. |
160 | 시에서 답변글이 자주올라오면좋겠습니다 |
162 | 각 부처별 공무원이 시에 들어온 또는 예방할수있는 민원에대한 처리 및 실적여부에 따라 대외적으로 홍보하고 실적별 포상 또는 진급을 우선적으로 해준다면 업무 효율과 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질것같습니다. 예를들어서 도로에 비가오고나면 포트홀이 많이 생겨나고 노후화된 도로를 지나다보면 이길은 언제 재포장 될까 이길을 담당자들이 직접다녀보면서 시민들이 불편함이 뭔지 알것같은데 느낄때도 많고, 사곡해수욕장 해안도로쪽 벤치 위치선정도 풀숲에 가려서 왜 저기다가 벤치를 놧을까 했습니다. 그리고 복지관 아래로 내려가는 인도에 배치된 벤치도 햇빛 하나 가려지지않는곳이라 여름엔 이용도 못할거같은데 벤치가있고 뒤편에 페인트가아닌 스티커로 그림 붙여놔서 그거마저도 얼마안되서 떨어지는거 보고있으면 일을 참 대충한다고 생각듭니다. 뭔가를 시에서 해준다면 확실하게 내가 거길 이용하는 입장에서 불편함이 뭔지 개선되어야 할게 뭔지에서 부터 일을 시작하는 마인드가 필요한데, 정작 그리한다고해서 그런일을 한 직원을 포상하거나 대우를 해주는 제도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165 |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설문조사가 더 많았으면 합니다. |
173 | . |
174 | 문화행사에 적극적 참여 |
175 | 아파트 엘리베이트 전광판 이용 홍보영상. |
176 | 소통을 위한 가양한 이벤트 |
177 | 설문조사 방식을 더 확대 됬으면 합니다 |
179 | 각 동 별 홈페이지 관리가 너무 안 되고 있는 것 같아요 ㅜ.ㅜ 어차피 홈페이지 확인 안 하겠거니 싶어서 그냥 있는 대로 살아가게 되네요.. |
181 | 행정공무원들의 청렴도와 시와시민에 대한 진실된마음씀씀이(앞으로도 불편하지 않고 불행하지 않게 살수 있는 고장이 될수 있도록) |
183 | 다양한 시정활동이 온라인으로 공유되면 좋겠읍니다. |
184 | 육아,자립지원 미혼모 한부모 경제기반 발전 추진 |
186 |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
188 | 시장님과의 소통시간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
189 | 온라인 참여가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
191 | 보안을 요하는 사항은 제외하고, 2~3개월 전에 전 시민이 알 수 있도록 정보공개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야 합니다. |
193 | 이번 소통플랫퐁 잘만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197 | 어르신들도 시정참여나 제안을 하기 쉽게 로그인이 필요한 사이트대신 카톡채널에서 의견받을수 있으면 좋을거같아요 |
205 | 참신한 아이디어부재 +시정정책이든 행정이든 타 지자체 벤치마킹해서 적용할려는 의지가 있는지 의문 |
207 | 시홈페이지에 직접 건의하는 란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208 | . |
209 | 현재 설문조사 질문지와 문항내용을보면 너무보편적이고 형식적인것같아,아쉬움이큽니다. 실직적으로 시민이 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있도록 구체적인 의견제시가 될수있도록 질문란의내용이 보완되었으면합니다... |
210 | 항상 수고많으십니다. 지금도 잘하고계십니다 화이팅 |
213 | 1. 정보 공유, 투명성 확보 |
214 | 소통할거제 너무 좋아요 앞으로도 좋은 활동 부탁드리겠습니다~! 더욱 사랑받길 기원하겠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
216 | 협력 |
217 | 여러부처를 거치는 소통이 아닌 다이렉트로 바로 할 수있는 소통 창구가 있었으면 합니다. |
224 | 거제사랑상품권 구매하기 너무 힘듬 개선사항 매 시각마다 판매 예) 9시에 25% 10시에25% 11시에25% 12시에25% |
226 | 누구나 편리하고 쉽게 접근가능한 시스템(온라인)이 필요합니다. |
228 | 거리에 나와 시민과 소통하는 거제시의 일꾼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
229 | 참여를 장려를 위한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다양한경품이지급되는이벤트를많이만들면좋겠습니다! |
235 | 각 동/면 단위 행사 및 시민참여 프로그램이 많이 이뤄졌으면 합니다. |
236 | 1일 동.면장 및 부서장 |
238 | 온라인을 통해 시 정책 참여 할 수 있어 좋다 좀 더 다양한 분야을 다루면 좋겠다 |
239 | 피드백이 있어야합니다. 완전한 소통이 바로 이루어지리라 생각하기 보단 즉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들 먼저 보여주면 |
241 |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242 | 적극적인 문자서비스를 했으면좋겠습니다 |
253 | 모바일이나 인터넷에 능숙하지 않고, 이동에 제한이 있는 어르신들을 위해 아파트마다 관리사무소 등 대표적 장소에 시랑 맞닿을 수 있는 건의함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255 | 시에 요청하고 싶은 사항을 언제든 적어서 문의 하고 싶어요. 검토나 진행상황도 같이 알고 싶습니다 |
257 | 피드백 |
258 |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를 지역축제와 연계. |
260 | 포괄적 선택보다 좀 더 세분화한 선택지를 고를수 있게 만들어주세요 |
261 | 이.통장 회의의 날에는 이.통장만 참여하여 회의가 진행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좀 더 시민과 소통이 되는 회의가 되도록 각 마을.아파트 00통구역.주택단지등 건의사항이 있을경우 시민도 참여가 되는 이.통장 회의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소통은 적은곳 부터 심화해 나가는 계기를 마련하면 좋겠습니다.수고하세요.감사합니다. |
262 | 적극적 참여는 참신한 내용에 대한 보상이 필요합니다. 보상이 좋으면 참여자는 늘것이고, 모두가 원하는 것을 얻지 않을까요. 온라인과 어르신들을 위한 오프라인 등 |
265 | 모든 정보를 클릭 2번만으로 조회가능할정도로 접근성 올려야함. 시예산및 국장 과장 결제문서 인스타 페이스북 블로그에 상시 게시. |
266 | 고현상권 살리기 |
267 | 온라인 1:1상담 개설 |
268 | 세금이 낭비되는 각종 사업이 너무 많은 반면 사업 관리나 진행에 부정이 많음. 시민이 직접 감사할 수 있는 기관 개설 필요 |
269 | 시 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외에도 시민들이 운영에ㅈ대한 정보를 알수있도록 접근성개선필요 |
270 | 먼저 소통할거제 운영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소통할거제가 좀 더 많이 홍보가 되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272 | 구체적인 계획을 on line뿐만 아니라 off line을 통해 홍보를 강화 하는것이 좋을것 같음 |
275 | 다산콜 적극활용,온라인 신고창구,국민신문고 작성시 포이트 적용등 신고 및 민원 활성화 |
276 | 내란 국민의힘을 해체하라 ! |
279 | 날짜와 시간을잡고 문자 메시지로 전달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있다고 생각이듭니다. 이것은 바쁜 시대에 많이 참석할 수 있고 다양의견 수렴이라 생각합니다. |
284 | 아이들 등하교시 버스 배차를 늘려주세요 |
286 | . |
289 | 계획적인 도로공사가 시행되길 바랍니다. 노후된 도로공사나 하수구공사가 필요한점은 알겠으나 너무 빈번한듯합니다. |
291 | 수시로 시정의 방향이나 개선점들을 적을수있는 소통방이있었으면 함. |
292 | 공무원 담당자 명확히 고시 |
299 | 도로 점검 |
300 | 시 발주공사 투명성 공개 |
305 | 온라인을 통한 적극적인 소통 |
310 | 생활불편사항 및 안전문제 개선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소통이 필요합니다. |
311 | 홈페이지 신문고 또는 홍보 |
312 | 행사관련 ~~ 적극적으로 동참할수 있도록 안내를 빨리 홍보해주시면좋을듯 합니다~~ 수고하십시요 ~^^ |
317 | 거제시가 소통할 주제나 문제점을 먼저 제시한후 반상회등을 통한 의견을 모으는것이 좋다고봅니다. 소통해야할 내용도 모르면서 무엇을 소통해야하는지 의문점이 생긴다 |
318 | <칭찬할 점> 다른 지자체에서는 이런 채널을 만들지도 않고 시 내에서 정치적 세력싸움만 해서 발전을 못한다. 거제시는 원 주민들이 많이 없고 외부인이 많은 특수성 때문에 다른 지자체 대비 꽤 정치 세력적 중립을 유지하고 있고 이런 저런 측면에서 행정 업무도 잘 돌아가는 편이다. 다른 지자체 일하는거 보면 답답한 수준을 넘어서 헛소리나 빽빽하고 있는데 거제시 공무원(일부 제외)은 전국 지자체 상위 10%에는 들어가는 것 같다. 일 잘하는 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초에 이런 활동이 주무관 레벨에서 자발하여 하는 것이 아니라 과장이나 그 윗선에서 시켜서 하는 것은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튼 주무관도 임무를 부여받았으면 제대로 했으면 좋겠다. 특히 할 수 있는 것임에도 꽤 소극적인 태도를 많이 겪었다.(*지인이나 당원이 요청하면 반영되고 시민이 요청하면 반영되지 않음. 즉, 법적으로 문제되는 사항이 아니라 그냥 귀찮으니 안 한 사례 등.) 관련 부처에 최대한 의견을 구하고 적극행정을 펼치고, 법이나 시행령, 조례 등 불가피하게 시정할 수 없으면 시정이 안되는 이유를 상세히 설명하는 정도까지는 주무관의 역할이지 않나 싶다. 소통의 본질을 갖추고 소통이라는 채널은 만들었으면 좋겠다. <적극 참여를 위한 아이디어> 1. 시장 및 그 이상의 레벨에서 강력한 스폰서십 의지가 필요하다. 시민소통실 수준에서 전 부서 업무를 아우르는데는 무리가 있다. 변화하겠다는 의지를 먼저 보여줘야 참여도 이끌어 낼 수 있겠다. 2. 여태까지 소통한 내용을 최대한 홍보하고 안되면 무엇 때문에 안되는 건지, 언제까지 다시 할 수 있는지, 대안은 없는지 결말까지 피드백을 주었으면 좋겠다. 의견은 받는데 개인에게만 전달되고 끝까지 결말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3. 좋은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댓가없이 시에서 쓰는 것이라면 적절한 보상도 필요해 보인다. 비단 물질적, 금전적 보상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상을 준다거나 개최행사에 VIP로 참석을 하게 한다거나 시에서 제공하는 복지를 이용하게 한다거나 여러가지 방안이 있을 것이다. 4. 다른 무엇보다 진짜 들으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아주 일부를 제외하고는 이래서 안돼, 저래서 안돼 듣기도 전에 하지 않을 궁리만 하고 있다. 같이 협의해서 대안을 찾을 생각을 해야 더 참여하려는 의지도 생기는 법이므로 오픈 피드백 채널을 만들었으면 좋겠다. - 간편한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시하고 공감수가 높거나 시에서 봤을때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를 선정한 뒤, 주무관 및 주사가 댓글로 참여를 한다. (이 방법은 현재 대비해서도 더 쉬운 방법이어야 한다. 글쓰기-댓글달기 수준의) >> 이후 선정된 아젠다에 대해 의견이 오고 가면서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판단하고 어떤 다른 아이디어가 있을지 다른 사람들의 의견도 나눌 수 있는 채널이 있다면 그 자체로 소통의 근거가 될 뿐더러 실체적인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321 | 거제의 문화적인 체험 행사 및 관광지를 더 홍보하여 역경제에도 더 나아가면 좋을거 같습니다 |
323 | 개선이 필요한 부분의 의견을 듣고 그에 대한 답변을 일정 기간 이내에 피드백 해주는 온라인 창구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
325 | 거제시 SNS를 활용한 소통방법 개선 |
327 | 없음 |
331 | 관광도시로 거듭날 행사들도 좋지만 주변 인프라등 도로정비 개선되어야 될 시급한 문제들이 우선시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행사장 주변 불법주차 및 주변 도로의 노후로 행사장 동선을 조금만 벗어나면 눈쌀찌푸리는 곳이 한두군데가 아닙니다. 소통할거제 정보망으로 주민신고제등 제안 요청이 즉시 반영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불버주차는 거제시민 모두를 위한길이니 나하나 쯤이야 선처가 있으면 또 자행되고 하니 수용처리가 될수 있게 합시다. |
332 | 소통할 거제 |
340 | 여러 공사를 했으면 좀 후조치도 명확하게 공지를 하던지 했으면 좋겠숩니다. 지금 고현시내 공사를 다했는데 언제쯤 다 복구를 하시는건지 모르겠습니다. |
341 | 제보,신고를하면 주관부서가아니다.다시 그부서로 신고해달라 몇번이라 반려가되던데 시에서 그담당 쪽으로 이첩해주면 좋은데 화나고 아쉽더라고요. |
347 | . |
351 | 쉽게 접근할수 있는 방법이 애매한것같아요 |
352 | 아직 시민과 소통 창구가 부족함을 많이 느낌니다. 특히 SNS 노출이 적은 어르신들 의견 소통이 절실히 필요합이다. |
353 | 제안사항 매월 게시판에 공유하고 빠른 답변 부탁드려요 |
357 |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거제시와 소통하기를 바랍니다 |
359 | 부산에서 오래살다 거제에 정착하러 왔는데 대중교통 버스노선이 넘 어렵네요 장평에서 어딜가든 고현터미널 환승해야함. 자차없음 불편함 |
360 | ^^ |
363 | 동.읍.면.기업등을 방문하며 소통을 창을 만들어 직접적으로 발로 뛰고 개선해 나가는 적극적인 방향으로 으로 나아가야 겠습니다. |
364 | 1. 참여경로 다양화 2. 정보공개 투명성 확보 |
366 | 대중교통이용이 편리해지면 좋겠습니다 |
369 | 친근한 거제시를 위한 지속적인 온라인 발전/부동산/기업 소식 등 시민패널 또는 시민들과 소통 필요 |
371 | 청소년을 위한 정책이 많이 마련되면 좋겠습니다! |
372 | 보다 장기적인 계획수립으로 지역행사 유치등 관광객 유입효과가 드으ㅐ되었으면 함. |
374 | 우수 제안 시상제도 마련 및 시상 |
375 | 감사합니다. 소통을 담당하는 부서에서 고생이 많으십니다. |
376 | 시에서 시행하는 정책과 그정책을 시행하는 업체명 대금등을 오픈하고 어디에 얼마나 쓰이지는지도 확인할수있게 개선되어야된다고봅니다 |
380 | 공동주택 게시판 또는 SNS(카페 등)을 통한 적극 홍보 |
384 | 만남의 시간을 자주 가졌으면 합니다. |
385 | 시정의견을 내면 확실한 해결모습을 보여주시면 적극적참여도가 높아질듯합니다. 예를들어 목줄안한강아지 건의하니 현수막안내문만 걸어놓고 끝내는것보다 몇일 나와보시고 지나가는견주들께 안내 지도,진짜목줄안한분들은벌금매기고 하는걸 릴스같이 찍어서 올리시면 확실히 개선됨이 보이니 적극적인참여도도 올라갈듯 합니다 |
386 | 시청앞 게시판등을 활용하여 참여현황홍보 |
387 | 시민들이 불편한 점부터 개선했음합니다. 거주인구를 늘려야 한다 가 아니라 도로, 교통 등 인프라부터 투자가 되어야 하고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도시가스, 상수도 등이 우선되어야 하는게 아닌가 합니다. 또한 관광 테마를 개발하면 여행객들이 머무를 수 있게 연계가 되어야 하는데 솔직히 거제와서 반나절이면 둘러보고 통영, 부산으로 넘어갑니다. 그 이유를 알고 개선해야 합니다. |
388 | 없음 |
390 | 교통안전과 관련된 민원제기를 시청에 전화나 신문고로 몇번해본적 있는데 아무런 변화가 없어서 아쉬웠음. |
392 | 이런 포인트 제도와 거제사랑상품권도 함께 확대 한다면 참여에 더 도움 될 것 같습니다 |
394 | 많은 사람들이 시정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뒷받침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역활성화, 동호회 모임, 사회단체등 다수가 참여하고 의견을 자유롭게 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396 | 공무원들의 불통금지~ 민원인들을 진정 도울 수있는 마음가짐~ |
402 |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온라인공간(공식적)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있다면 홍보가 필요합니다. |
405 | 상동과 고현을 연결할수 있는 인도가 더 잘 정비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406 | 거사모같이 누구나 글을 쓸 수있고 답해주는 카페같은 것이 있으면 좋겠다. 그곳에 제보도도하고 개선된거 그런것도 올려주고 도로나 다리건설 현황이나 방안 이런것들을 알려주고 하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이 있었음 합니다. |
407 | 시장과의대화 |
412 | 시민들의 의견을 좀 더 적극적으로 수정 반영하고, 귀기울여주면 좋겠습니다. |
416 |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좋은 정책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420 | 민생안정자금 빨리 풀어주세요.소상공인들 넘 힘들어요 |
421 | 말로하는 행정 노우 발로 뛰는 행정 에스 |
422 | 항상 수고하십니다. |
424 | 시민들이 접근이 용이한곳에 시와 소통할 수 있는 QR 코드를 부착하여 자유롭고 편리하게 건의나 제안, 불편사항, 민원을 쉽게 접수할 수있도록 소통방법을 개선 할 수 있으면 좋겠음. 예를들어 식당이나 여러 주요건물, 공원, 버스정류장 등의 등에 부착 |
426 | 온라인 참여가 쉽고 빨라서 좋지만 정확하고 자세하게 표현하기엔 한계가 있고 또한 실행결과를 확인하기도 쉽지 않다. 직접 참여 기회 확대 요망함. 대면기회, 오픈 토크 콘서트 등 |
429 | 온라인이나 카카오톡, 인스타등 SNS 이용하면 좋을것 같아요 |
430 | 시민 투표제 활성화, (ex. 행복센터에서 스티커 붙히기 정도로 끝나는게 아니라 문자, 카톡을 통한 참여독려등) |
434 | 옥포대첩축제에...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주차단속카메라 돌아다니던데... 좋은날 단속카메라 찍히면 얼마나 기분안좋겠어요... 제가 찍힌건아니지만 신호받다가 단속하고있는 모습봤는데 그닥 좋아보이진않더라구요 |
437 | 온라인을 통한 소통방식의 창구가 더 늘어났음 좋겠어요. 익명이라던지 다양한 방법으로 늘어났음 좋겠네요. |
439 | 설문조사나 투표 공모같은 것들 많이 부탁드립니당 |
440 | 보안에 대한 사항을 빼고, 2~3개월 전 시민이 보고 활인 할 수 있는 시스템으 만들어야 되며, 그것이 바로 시민과 함께하는 시정이 될 것입니다. |
441 | 이미 시행중이시던데 정책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는것은 아주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수있도록 홍보를 더하는건 어떨까요. |
442 | 다양한 의견을 내고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온라인 창구 |
452 | 없습니다. |
453 | 시민들이 이야기할 수 있는 창구 추가(오프라인이나 온라인) 시정 관련 설문조사 늘리기 |
455 | 실무자가 자꾸 바뀌니까 과장이 직접 챙겨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