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소통4주차(2)]거제시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 이용 실태 조사
- 설문기간 : 2025-07-07 09:00 ~ 2025-07-13 18:00
거제시에서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시민여러분과 소통, 공감, 정보전달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의 거제시 공식 소셜미디어 이용현황에 대해서 설문드리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1. 귀하가 주로 사용하는 SNS 플랫폼을 자주 이용하는 순서대로 나열해주세요. (최대 5순위까지)
- 인스타그램
18.85% (219명)
- 페이스북
5.85% (68명)
- 네이버 밴드
9.38% (109명)
- 네이버 블로그
14.11% (164명)
- 유튜브
19.45% (226명)
- 카카오톡
25.65% (298명)
- 틱톡
3.70% (43명)
- 트위터(엑스)
1.38% (16명)
- 사용하지 않음
0.69% (8명)
- 기타
0.95% (11명)
- 인스타-카카오톡-유튜브-네이버블로그-스레드-트위터
- 10. 거제시 SNS 채널이 강화하면 좋을 부분에 대해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 적는 공간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습니다.
- 네이버까페
- 거사모 같은 네이버 까페
- (총 364명 응답)
2. 하루 평균 SNS 이용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요?
- 30분 이하
12.77% (47명)
- 30분~1시간
28.80% (106명)
- 1~2시간
25.00% (92명)
- 2~3시간
16.58% (61명)
- 3시간 이상
16.85% (62명)
- (총 364명 응답)
3. SNS를 이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복수 응답 가능)
- 정보 검색
26.81% (285명)
- 뉴스 보기
15.43% (164명)
- 일상 기록 및 공유
9.97% (106명)
- 친구 및 가족과의 소통
16.09% (171명)
- 여가 및 오락(동영상, 음악 감상)
14.77% (157명)
- 제품 및 서비스 구매
5.74% (61명)
- 지역 소식 및 행사 정보 확인
10.91% (116명)
- 기타
0.28% (3명)
- 관심 있는 분야 정보 얻거나 소통.
- (총 364명 응답)
4. SNS를 통해 거제시 소식(시정, 행사, 축제 등)을 접한 경험이 있나요?
- 자주 접한다
37.64% (137명)
- 가끔 접한다
53.02% (193명)
- 거의 접하지 않는다
7.69% (28명)
- 전혀 접하지 않는다
1.65% (6명)
- (총 364명 응답)
5. 거제시 시정소식 및 축제·행사 정보를 습득하는 경로는 무엇인가요?
- 공식 홈페이지
17.81% (65명)
- 공식 SNS채널
46.30% (169명)
- 홍보 리플렛, 현수막 등
14.25% (52명)
- 지역 커뮤니티 그룹(카페 등)
13.42% (49명)
- 개인 블로그
1.64% (6명)
- 뉴스 기사
5.21% (19명)
- 기타
1.37% (5명)
- 지인
- 남편이 알아와서 말해줘요
- 카카오톡 공식 채널
- (총 364명 응답)
6. 거제시 공식 계정 중 구독하는 SNS 채널은 무엇인가요? (복수 응답 가능)
- 인스타그램 1계정(@bigheart_geoje)
16.86% (102명)
- 인스타그램 2계정(@geojecity)
19.67% (119명)
- 페이스북
5.12% (31명)
- 네이버 밴드
6.45% (39명)
- 네이버 블로그
7.11% (43명)
- 유튜브
7.77% (47명)
- 카카오톡
27.60% (167명)
- 구독하지 않음
7.93% (48명)
- 기타
1.49% (9명)
- (총 364명 응답)
7. 다음 거제시 공식 계정을 자주 이용하는 순서대로 나열해주세요. (최대 5순위까지)
- 인스타그램 1계정(@bigheart_geoje)
13.98% (112명)
- 인스타그램 2계정(@geojecity)
16.98% (136명)
- 페이스북
4.62% (37명)
- 네이버 밴드
8.74% (70명)
- 네이버 블로그
10.99% (88명)
- 유튜브
12.73% (102명)
- 카카오톡
25.22% (202명)
- 구독하지 않음
4.74% (38명)
- 기타
2.00% (16명)
- (총 364명 응답)
8. 거제시 SNS 채널을 구독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 여행·관광 정보 수집
10.11% (36명)
- 행사·축제 정보
39.61% (141명)
- 시정 소식 수집
31.74% (113명)
- 이벤트 참여
10.39% (37명)
- 지역 커뮤니티 참여
5.90% (21명)
- 기타
2.25% (8명)
- 교육 강의 등 정보 획득
- 구독안함
- 구독 안 함
- 잘...안봐요.
- (총 364명 응답)
9. 거제시에서 제공하는 SNS 콘텐츠가 도움이 되고 있나요?
- 매우 도움이 된다
28.61% (103명)
- 도움이 된다
45.83% (165명)
- 보통이다
23.61% (85명)
- 도움이 되지 않는다
0.83% (3명)
- 매우 도움이 되지 않는다
1.11% (4명)
- (총 364명 응답)
10. 거제시 SNS 채널이 강화하면 좋을 부분에 대해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항목 | 답변내용 |
---|---|
5 | 조금더 자주 노출될수있도록 홍보 |
8 | 잘 보고 있어요 |
10 | 좋습니다 |
15 | ,홍보부족 |
20 | 큰 행사말고 연령별 다양한 소식 제공 |
22 | 1. 좀 더 자주 올려주는거 2. KTX 와 신공항 등 거제와 밀접한 사안에 대해서 좀 자세히 설명 |
26 | 각종 신고, 납부, 신청 기간들을 월별로 정리해서 안내해주면 좋을것같아요 |
35 | 가끔 구독자 유치 이벤트도 해주세요. |
36 | 행사를 미리미리 알수있어서 너무 좋아요~ 이벤트나 행사를 많이 하면 좋겠습니다. |
47 | Sns채널이 보기 편했으면 좋겠다 |
51 | 매일 게시되는 행사ㆍ축제ㆍ사고ㆍ사건ㆍ이벤트ㆍ모집등 따끈한 소식을 쉽게 접했으면합니다ㆍ 매일 카톡이든 연결사이트 띄워주세요ᆢ |
93 | 모든 시민들이 카톡을 통해 시정활동에 참여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123 | 패스 |
124 | 지역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126 | 행사 알람을 더 자주 접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
128 | 읍,면동 소식 |
129 | 홍보내용을 공유하면 좋겠다. |
130 | 청년 취업 관련, 공기업, 대기업, 중견기업, 외국계기업 등 여러 사이트에서 나오는 채용정보들을 모아서 일간 또는 주간 정기적으로 보기 쉽게 공지해 주면 거제시 뿐만 아니라 공지하여 전국에서 활용 가능 |
131 |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컨텐츠가 더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
132 | 많은 분 들이 보게되면 여러 축제나 관광이 더 활성화 되리라 생각듭나다 |
133 | ㆍ ᆢ |
134 | 없음 |
135 | 111 |
136 | 시민참여 프로그램 홍보에 도움 |
137 | 체험이나 배움관련도 안내되면 좋겠어요 |
138 | 현재 거제시에서 시행할 정보들 공유가 잘 되어있습니다. |
139 | 구직,구인 강화 |
140 | 지역행사는 현행대로 잘 보고있는데 지원사업이닌 지원금신청등 시민들이 신청할수있거나 받을수있는 혜택공유가 더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
141 | 정책 진행 상황에 대해서도 공유하면좋겠습니다. |
142 | 숨겨진, 아직 알려지지 않은 사소하더라도 거제에 관련된것이 업데이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143 | 홍보 |
144 | 재래시장 활성화에 대한 홍보 및 주요 관광지 입장권 시민 할인율을 더 적용 하는 부분에 대해 고려 필요 |
145 | 없습니다 |
146 | 잘하시고들 계신듯 |
147 | . |
148 | 지금처럼 거제 볼거리, 먹을거리 관련 행사및 이벤트 준비해 주셔요^^ |
149 | 계속 홍보하여 축제나 행사 그리고 정보를 공유하면 모든 시민의 관심이 집중 되리라 본다. |
151 | 만족함 |
152 | SNS에 문의글을 올리면 귀찮으시겠지만 적극적으로 답해주세요. SNS 에 홍보가 아닌 소통한다는 느낌이 들면 시민들 입장에서는 친근하게 느껴지고 그러다보면 친구같이 느껴져서 벽을 뛰어넘게 되더라구요. 다른 관공서 일부 SNS를 보면 홍보나 마케팅 콘텐츠만 올려놓고 소통을 안해요. 물론 담당자가 귀찮고, 자기 업무가 아니니까 그런것도 있겠지만, 그럴경우 SNS가 오래 못가더라구요. |
153 | 거제시 SNS덕분에 놓치지 않고 거제시 정보를 알 수 있어서 정말 마음에 들고 좋습니다. 엄지 척입니다. |
157 | 자연재해 대비 |
158 | 흥미가 생기게 만들어줘요 |
159 | 홍보 부족 |
160 | 홍보좀 합시다 있는줄도 몰랐음 |
161 | 없으 |
162 | 지금처럼만이라도 잘 유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163 | 충주시처럼 재밌게 하면 좋을듯해요~ |
164 | 특별히 생각이 나지않음 |
165 | 홍보 이벤트 참여 률 높이기 |
166 | 시정소식이나 지역 행사 등을 퀴즈로 홍보하는 등 이벤트를 자주 진행해 주시면 좋겠어요 |
167 | 지금도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어 만족한다. |
168 | 모두가 공유하며 함께 참여하였으면 합ㄴ디ㅏ |
169 | 관광도시의 정보 업뎃이 필요해요 |
170 | 청소년만의 공간도 만들어주세요 |
171 | 행사 미리 좀 올려주세요 |
172 | 큰 행사말고도 SNS에 자잘한 거제 소식도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00도로에 00부분에 문제가 있어 수리했습니다. 이런식으로 거제시의 다양한 부분에 관한 시정 조치사항 들도 올려주세요. 그래야 거제시청이 많이 일하고 있는지 시민들도 알게 되거든요. 스스로 알리지 않으면, 시민들이 어떻게 알겠습니까? 적극적으로 알려주세요. |
173 | 현재도 만족합니다 |
174 | 홍보할 수 있는 채널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175 | 거제에는 이런것까지있다 홍보영상 |
176 | 현안 문제에 대해 시민 참여 의견 제안하기 편리합니다 ㆍ 감사합니다 |
177 | 움...크게 본 적 없는거같아요. 누가 한다고 말해주면 아는 정도?홍보가 더 필요하지않나 싶습니다 |
178 | 좋아요 |
179 | 없음 |
181 | 고시공고 |
182 | 여러소식 자주 올려주세요 |
183 | 충주시 유튜브 참고해서 독특하게! |
184 | 지역 발전에 관한 소통이 필요함 |
185 | 거제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도록 잘 설명해 주면 좋겠습니다! |
186 | 지역 축제나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동별 모임이라든지) 정보가 더 많으면 좋겠습니다. |
187 | 인스타에 18000명정도 팔로잉하고있는데 더많은 거제 시민이 알수있도록 홍보해주세요 |
188 | 노인일자리 관련 정보가 많아졌으면 함 |
189 | *거제시 SNS 채널 운영 분석 및 개선 전략* Ⅰ. 현황 개요 지자체 인구 유튜브 구독자 수 인구 대비 비율 (%) 충주시 206,872명 840,000명 406.05% 사천시 108,036명 20,400명 18.88% 고성군 49,987명 9,290명 18.58% 통영시 117,545명 10,500명 8.93% 진주시 337,529명 24,800명 7.35% 창원시 994,887명 41,300명 4.15% 거제시 231,887명 7,240명 3.12% 1. 핵심 진단 ● 거제시 유튜브 구독자 비율은 비교 지자체 중 최저 수준: 인구 23만 명이 넘는 거제시의 유튜브 구독자 비율은 3.12%로, 비교 대상 지자체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민과의 디지털 소통 및 참여 유도에 있어 개선이 시급함을 나타냅니다. ● 참여 유도 전략 미흡: 시민들이 채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명확한 전략과 장치가 부족합니다. ● 시민 중심 콘텐츠 부족: 시정 홍보 위주의 딱딱한 콘텐츠가 많아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 채널 간 연계 부재: 각 SNS 채널이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정보의 확산 및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Ⅱ. 주요 문제점 상세 분석 1. 소통 방식의 일방향성 ● 현황: 거제시 SNS 채널은 주로 시정 소식, 행사 안내 등 정보 전달에 집중되어 있으며, 시민의 의견을 묻거나 참여를 유도하는 상호작용 요소(댓글, 설문, 실시간 질의응답 등)가 현저히 부족합니다. 진주시의 함께 만들어 가는 진심채널과 대조됩니다. ● 문제점: ○ 낮은 시민 반응률: 게시물에 대한 좋아요, 댓글, 공유 등 시민 반응이 저조하여, 시민들이 채널을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참여하는 공간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소통의 단절: 시민들이 궁금증이나 의견을 표출할 기회가 제한되어, 시와 시민 간의 소통이 단방향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 피로도 증가: 단순히 게시물 빈도를 높이는 양적 홍보에 치중할 경우, 시민들은 정보 과잉으로 인해 채널에 대한 피로감을 느끼고 이탈할 수 있습니다. (예: 페이스북 참여율 하락 사례) 2. 콘텐츠 형식과 품질 비최적화 ● 현황: 거제시 유튜브 채널은 텍스트 위주의 정보 전달 방식과 긴 형식의 영상이 많아, 모바일 환경에서 콘텐츠를 소비하는 젊은 층의 시청 습관에 부적합합니다. 사천시의 다양한 시정시책 발빠른 업로드와 대조됩니다. ● 문제점: ○ 모바일 친화성 부족: 카드뉴스, 숏폼(Short-form) 영상 등 간결하고 시각적인 콘텐츠의 비중이 낮아, 이동 중 스마트폰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주 이용자층의 유입이 어렵습니다. ○ 공감대 형성 미흡: 정책 설명이나 회의록 등 딱딱하고 공식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어, 시민들의 일상과 연결되는 감성적이고 인간적인 스토리텔링이 부족합니다. (예: 공무원 하루 밀착, 시민 인터뷰 등 부재) ○ 정보 과잉 및 흥미 저하: 하나의 영상에 너무 많은 정보를 담으려 하거나, 시각적 요소 없이 텍스트만 나열하는 경우, 시청자의 집중도가 떨어지고 흥미를 잃게 됩니다. ○ 콘텐츠 퍼널 부재: 예고, 하이라이트, 리마인드 등 시청자의 다음 행동을 유도하는 BOFU(Bottom-of-funnel) 단위 콘텐츠가 부족하여, 콘텐츠 소비가 단발성으로 끝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콘텐츠 관리의 느슨함 & 최신성 부족 ● 현황: 유튜브 재생목록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거나, 블로그 등 다른 채널과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정보의 접근성과 신뢰도가 저하되고 있습니다. ● 문제점 ○ 정보 신뢰도 하락: 오래된 영상이나 주제 섹션이 상단에 노출되거나, 불필요한 영상이 방치되어 있어 채널의 전문성과 신뢰도를 떨어뜨립니다. ○ 검색 효율 저해: 재생목록 분류 기준이 모호하거나, 키워드, 메타데이터, 자막 등 SEO(검색엔진최적화) 요소가 미흡하여 시민들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어렵습니다. ○ 채널 간 시너지 부족: 블로그, 밴드 등 다른 SNS 채널과의 내부 연결(예: 다음 읽기, 인기 글)이 부족하여, 각 채널이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 콘텐츠 재활용 미흡: 긴 라이브 방송이나 회의 영상 등 활용 가치가 높은 원본 콘텐츠를 주제별 짧은 클립으로 재가공하여 확산하는 노력이 부족합니다. 4. 사용자 피드백 관리 체계 부재 ● 현황: 시민들의 댓글이나 문의에 대한 모니터링 및 대응이 체계적이지 않아,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거나 시민들의 불만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문제점: ○ 여론 악화 및 이미지 손상: 부정적인 댓글이나 민원성 문의에 대한 대응이 지연되거나 부적절할 경우, 시민들의 불만이 증폭되고 시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민원 발생: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형의 민원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된 응대 매뉴얼이나 자동화 시스템이 없어 비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집니다. ○ 소통의 단절 및 불신: 시민들의 소중한 의견이나 피드백이 정책 반영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부재하여, 시민들은 자신의 목소리가 경청되지 않는다고 느끼고 소통에 대한 불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성과 측정 및 개선의 어려움: 피드백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리포트하는 과정이 없어, SNS 운영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개선 전략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Ⅲ. 개선 전략 & 실행 방안 1. 인터랙션 중심 소통 전략 - 시민 참여의 효과 극대화 시민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정보 전달을 넘어, 시민이 자신의 의견이 실제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효과를 직접 체감하고, 쉽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명확한 CTA(Call to Action) 도입 및 참여 문턱 낮추기: ○ 모든 SNS 채널(유튜브, 블로그, 밴드, 카카오톡 등)의 게시물 말미에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설문에 참여하여 정책에 목소리를 내주세요!, 다음 영상에서 궁금한 점을 질문해주세요! 등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참여 유도 문구를 삽입합니다. ○ 실행 방안: 모바일 친화적인 설문조사, SNS 댓글 이벤트, 실시간 투표 등 일상에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을 적극 활용하여 참여의 문턱을 낮춥니다. 오프라인 행사(주민회의, 봉사활동 등)와 온라인 플랫폼을 병행하여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실시간 라이브 및 Q&A 세션 확대: 투명한 소통과 즉각적인 피드백: ○ 시장, 국장, 담당 공무원 등이 직접 참여하는 주 1~2회 정기적인 유튜브 라이브 Q&A 세션을 기획합니다. (예: 시장님께 묻는다, 정책 브리핑 라이브) 라이브 중 실시간 댓글을 통해 질문을 받고 즉각적으로 답변하여 시민과의 소통 접점을 확대합니다. ○ 실행 방안: 밴드,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라이브 일정을 사전 공지하고, 질문을 미리 접수받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시민이 제안하거나 참여한 내용이 정책, 사업, 행사 등에 실제로 반영되고 있다는 점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피드백하여 지속적인 참여 동기를 높입니다. (예: 시민제안 플랫폼에서 채택된 아이디어의 실행 과정을 시민에게 안내하고, 결과를 공유) ● 테마별 설문/퀴즈 및 투표 도입: 참여의 재미와 보상 제공: ○ 시정 주요 현안, 축제 기획, 지역 명소 추천 등 다양한 주제로 유튜브 커뮤니티 탭, 블로그,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한 설문조사, 퀴즈, 투표를 정기적으로 진행합니다. (예: 거제시민이 뽑는 최고의 관광지는?, 이 정책, 어떻게 생각하세요?) ○ 실행 방안: 퀴즈, 챌린지, 공모전 등 게임적 요소를 도입하거나, 소정의 보상(기념품, 인증서, 포인트 등)을 제공하여 시민의 흥미와 만족도를 높입니다. ●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공모 캠페인 기획: 참여 효능감 및 소속감 강화: ○ 거제시의 아름다운 풍경, 숨겨진 맛집, 시민들의 일상 속 거제 이야기 등을 주제로 영상, 사진, 에세이 등 UGC 공모전을 연 2회 이상 개최합니다. 우수작은 공식 채널에 게시하고 시상하여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애향심을 고취합니다. 진주시의 시민 제보 영상 17을 벤치마킹할 수 있습니다. ○ 실행 방안: 참여한 시민이 내가 변화를 만들었다는 성취감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참여자 명단 공개, 스토리 공유, 우수 참여자 시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을 주인공으로 만듭니다. 진주시의 경우 SNS 서포터즈·1인 영상제작자·학생 웹툰 작가단·시민명예기자 등 각계각층의 시정 참여를 확대하고 쌍방향 소통 수요에도 적극 반응해 시민들의 이야기와 시선으로 피드를 채울 계획을 통해 시민 참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연령별 맞춤형 참여 방식 설계: ○ 각 연령대의 정보 접근성, 선호하는 소통 채널, 관심 정책 분야, 결과 공유 방식을 반영하여 참여 방식을 설계해야 효과적입니다. ○ 실행 방안: ■ 20~30대 이하: 온라인 설문, SNS, 모바일 앱, 비대면 토론, 주민투표 등 디지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합니다. 정보 제공 및 결과 공유는 데이터 시각화(인포그래픽, 차트), SNS 콘텐츠 등 모바일 친화적인 방식으로 진행하며, 일자리·경제, 교통·인프라, 주거 정책에 대한 참여 기회를 확대합니다. ■ 40~50대: 설문조사, SNS·홈페이지, 주민 간담회, 공청회 등 온·오프라인을 병행합니다. 카드뉴스, 영상 콘텐츠, 시각화 자료 등 시각적 정보를 선호하며, 복지·보건의료, 주거, 경제 정책에 대한 참여를 유도합니다. ■ 60대 이상: 오프라인 간담회, 설명회, 전화 설문, 우편 등 직접 소통 기회를 확대합니다. 결과는 대면 설명회, 인쇄물, 직접 안내 등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며, 복지·보건의료, 지역 생활환경 정책에 대한 참여를 강화합니다. ■ 정보 소외계층 배려: 고령층, 디지털 취약계층 등 정보 소외계층을 위해 전화, 우편, 방문 안내 등 오프라인 채널을 병행하여 정보 격차를 최소화합니다. 진주시가 전 연령층에서 고루 사용하는 카카오톡채널을 추가해 접근성을 크게 높인 데 이어, 네이버 밴드를 신규 추가해 50대 이상 연령대 공략에 나섰다는 사례는 연령별 맞춤형 채널 활용의 좋은 예시입니다. 2. 콘텐츠 재설계 ● 모바일 친화적 콘텐츠 강화: ○ 카드뉴스 및 숏폼 영상 확대: 정책 핵심, 축제 예고, 시정 뉴스 등을 15초~60초 내외의 짧고 간결한 숏폼 영상(유튜브 숏츠, 인스타그램 릴스) 및 시각적 정보 중심의 카드뉴스 형태로 제작하여 주 3회 이상 게시합니다. ○ 타이틀 요약 및 핵심 정보 직관화: 모든 영상의 시작 부분에 5초 이내의 핵심 메시지 요약 타이틀을 삽입하고, 영상 내 중요 정보는 자막, 인포그래픽, 애니메이션 등을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전달합니다. ● 사람 중심 스토리텔링 강화: ○ 공무원 하루 밀착 시리즈: 각 부서 공무원들의 업무 현장을 밀착 취재하여,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시정 업무의 뒷이야기와 공무원들의 노력을 보여주는 인간적인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 시민 인터뷰: 우리 동네 자랑 캠페인: 거제시민들의 삶의 이야기, 지역에 대한 애정, 숨겨진 명소 등을 담은 인터뷰 영상을 제작하여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역 공동체 의식을 강화합니다. ○ 거제청년의 하루 일상, 거제에서 N년 살이 등: 특정 연령대나 집단의 일상을 통해 거제시의 매력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브이로그(Vlog) 형식의 콘텐츠를 기획합니다. ● 다양한 정보성 콘텐츠 추가: ○ 정책 리뷰 및 후기 영상: 복잡한 정책을 시민 눈높이에 맞춰 쉽게 설명하고, 실제 정책 수혜자의 생생한 후기를 담은 영상을 제작하여 정책 이해도를 높입니다. ○ 민원 브리핑 영상: 시민들이 자주 묻는 민원 유형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나 관련 정보를 간결하게 설명하는 영상을 정기적으로 업로드합니다. ○ 거제시 이모저모 시리즈: 시의 주요 행사, 문화 시설, 관광지 등을 소개하는 홍보 영상 외에, 시민들이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생활 정보(예: 재활용 분리수거 팁, 대중교통 이용 안내)를 제공합니다. 3. 콘텐츠 관리 체계 정비 ● 유튜브 재생목록 주기적 정비: ○ 분류 기준 명확화: 시정뉴스, 문화관광, 시민참여, 정책설명, 이벤트 등 명확한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각 재생목록 내 영상은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합니다. ○ 불필요 영상 아카이빙: 시의성이 지난 영상이나 조회수가 현저히 낮은 영상은 아카이브 재생목록으로 이동시키거나 비공개 처리하여 채널의 가독성을 높입니다. ● 블로그·밴드 내부 연결성 강화: ○ 다음 읽기 추천 및 인기 글 박스 도입: 블로그 게시물 하단에 관련 주제의 다른 글이나 인기 있는 글을 추천하는 섹션을 삽입하여 독자의 체류 시간을 늘리고 정보 탐색을 유도합니다. ○ 콘텐츠 태그 기반 유사글 자동 삽입: 모든 콘텐츠에 핵심 키워드 태그를 부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사한 주제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도입합니다. ● SEO(검색엔진최적화) 개선: ○ 키워드 리서치 기반 제목·설명·태그 재작성: 각 영상 및 게시물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사전에 분석하고, 이를 제목, 설명, 태그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검색 노출도를 높입니다. ○ 자막 파일 삽입 및 번역: 유튜브 자동 생성 자막을 검수하여 정확도를 높이고, 필요시 다국어 자막을 추가하여 외국인 주민 및 관광객의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킵니다. ● 긴 콘텐츠 재가공 및 확산: 긴 라이브 방송, 세미나, 회의 영상 등은 핵심 내용을 1~3분 내외의 짧은 클립으로 재가공하여 유튜브 숏츠, 인스타그램 릴스, 블로그 요약본 등으로 확산합니다. 4. 피드백 수렴 구조 구축 ● 민원 및 피드백 응답 매뉴얼화: ○ 응답 시간 기준 제정: 일반 문의는 1일 이내, 민원성 또는 부정적 피드백은 3시간 이내(근무시간 기준) 응답을 목표로 하는 내부 프로토콜을 수립합니다. ○ 유형별 템플릿 구축: 자주 발생하는 민원 및 문의 유형별로 공감과 해결 의지를 담은 표준 응답 템플릿을 마련하여 신속하고 일관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예: OOO님의 의견에 깊이 공감합니다. 해당 내용은 담당 부서에 전달하여 신속히 처리하겠습니다.) ● 자동화 연동 시스템 구축: ○ 댓글 알림 및 티켓 생성 자동화: 각 SNS 플랫폼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댓글, DM(Direct Message) 등 모든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특정 키워드(예: 불만, 민원, 문제)가 포함된 경우 Notion, Trello 등 협업 툴에 자동으로 티켓을 생성하여 담당자에게 알림을 보냅니다. (Zapier, Make 등 연동 툴 활용) ○ 누적 피드백 데이터 분석 및 리포트: 월별로 수집된 피드백 데이터를 정량적(건수, 유형별 비중) 및 정성적(주요 이슈, 시민 정서)으로 분석하여 월간 시민 반응 요약 리포트를 발행합니다. 이 리포트는 SNS 운영 개선뿐만 아니라 시정 정책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부서에 공유합니다. ● 피드백 활용 전략 수립: 시민 의견을 단순 응대하는 것을 넘어, 주요 피드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콘텐츠 기획, 정책 개선, 서비스 향상에 반영하는 피드백 루프를 구축합니다. (예: 시민 의견 반영! OOO 정책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콘텐츠 제작) 5. 교차 채널 연계 ● SNS → 본질적 유입 경로 유도: ○ 유튜브 숏츠/인스타그램 릴스 → 블로그/본편 영상 연결: 숏폼 콘텐츠의 마지막에 더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 링크(블로그) 또는 유튜브 본편 영상에서 확인하세요!와 같은 명확한 CTA를 삽입하여 트래픽을 유도합니다. ○ 블로그 핵심 콘텐츠 → 카카오톡 채널 요약 전송: 블로그에 게시된 주요 정책, 행사 정보 등은 핵심 내용만 요약하여 카카오톡 채널 메시지로 발송하고, 상세 내용은 블로그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 Cross-posting 및 일정 자동화: ○ 콘텐츠 캘린더 통합 운영: Notion, Google Sheets 등 협업 툴을 활용하여 모든 SNS 채널의 콘텐츠 발행 일정을 통합 관리하고, 각 채널의 특성에 맞춰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예약 발행합니다. ○ 자동화 도구 활용: Zapier, Make 등을 활용하여 특정 채널에 게시물이 업로드되면 다른 채널에도 자동으로 공유되도록 설정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입니다. ● 오프라인 홍보 연계: 시청, 주민센터, 관광 안내소 등 오프라인 공간에 SNS 채널 QR코드를 비치하고, 지역 행사 시 SNS 채널 구독 이벤트를 진행하여 온라인 채널로의 유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합니다. Ⅳ. KPI 대시보드 구조도 구분 세부 지표 (KPI) 수집 도구 / 연동 방법 도달률 게시물 노출 수, 유튜브 조회 수 YouTube Studio, Meta Business Suite 참여율 좋아요 수, 댓글 수, 공유 수 페이스북/인스타 API, 블로그 통계 구독/팔로우 전환율 영상 시청 → 구독 클릭 비율 유튜브 분석 (CTR) 상호작용 깊이 평균 댓글 길이, 댓글 응답 비율 ChatGPT + Zapier 자동 분류 불만 대응 시간 부정 피드백 → 응답까지 소요 시간 Notion, Google Forms 수동 기록 채널 간 연계 성과 숏폼 → 본편 영상 클릭률 Bitly, Google Analytics 콘텐츠별 ROI 제작 소요 시간 대비 반응 지표 콘텐츠 제작 로그 + 통계 비교 * 대시보드는 Google Data Studio 또는 Notion 대시보드로 구현 가능하며, Zapier·Make(구 연동 툴) 등을 활용해 자동화 가능합니다. Ⅴ. 결론 거제시 SNS 전략은 전달에서 참여와 공감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콘텐츠는 시민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와 연결감을 느낄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하며, 운영은 데이터 기반의 시민 참여 유도형 자동화 체계로 혁신되어야 합니다. 충주시, 사천시, 고성군 등 성공적인 타 지자체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되, 거제시만의 고유한 감성과 정체성을 담은 콘텐츠를 개발하여 시민과의 진정한 소통을 이루어낼 때, 거제시 SNS 채널은 단순한 홍보 채널을 넘어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소통의 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입니다. |
190 | 한번씩 소식이 느린 경우가 있습니다. 많이 홍보 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이 빠르게 알려주시면 시민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191 | 민원접수창구 |
193 | 적극적인 홍보 |
195 | . |
196 | 원활한 소통 |
197 | 지역 인터넷 뉴스에서도 거제시 소식을 접할수 있으면 합니다. |
198 | 거제 시정에 대해 일방 공지가 아니라 쌍방소통이 잘 되면 좋겠어요 |
199 | 깔끔하게 요약해서 하면 좋겠음 |
202 | 거제시정을 모두가 공유할수 있었으면 좋을둣 해요 |
203 | ㆍ |
204 | 더욱 빠른 소식 복지 정책이나 정보알림에 힘써주시길 바랍니다 |
205 | 시민의 안전과 재해 예방을 위한 신고 사례에 대한 칭찬을 통하여 적극 참여를 유발 할 수 있는 내용들을 강화하길 바랍니다. |
206 | 더 다양한 정보가 많았으면 좋겠습니까 |
207 | 현재 만족하면서 보고있습니다 |
208 | 행사장의 교통편 또는 혼잡도 또는 주차관련정보 정도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떤곳은 교통편이 너무 안좋거나 주차장 안내가 미흡해서 한참을 돌다 그냥 돌아온적도 있습니다 |
209 | 지역축제홍보를 특색있게 했으면합니다 |
210 | 일단 거제 내에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문화, 체험의 장이 많아졌으면 좋겠고, SNS가 그 소식들을 소개 및 홍보하는 역할을 해주면 좋겠습니다. |
211 | 자주 행사나이벤트등 올리는게 좋을거같습니다. |
212 | 없음 |
213 | 거제시 SNS 채널은 실시간 생활정보 제공 기능이 강화되면 시민들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관광 명소나 지역 상권 홍보 콘텐츠를 확대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 시민 참여형 콘텐츠를 늘리고, 시각적 완성도가 높은 콘텐츠 제작 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플랫폼별 특성에 맞춘 운영 전략이 더해지면 소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214 | 수시로 시민들의 참여 코너를 접수받는 경로가 더 많이 생기면 좋겠어요.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고 참여하면 좋잖아요. 담당자분들 함께 거제에서 전부 다 만들어갈려고 하면 그것도 스트레스고, 힘드니까요. 물론 지금도 참여하는 코너는 있지만 제 말은 비율을 더 늘리면 좋겠다는 말이죠. 매번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비율 50%, 시민들 참여로 담당자님이 편집해서 올리는 비율 50% 이런식이면 담당자분들도 조금은 편하실것 같아요. |
215 |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있는 행사, 참여할 수 있는 정책 제시를 적극적으로 해주면 좋겠습니다 |
216 | 없음 |
222 | 여행관광정보 |
223 | 조선소 관련정보 |
224 | . |
226 | 거제 시민으로서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해 주니 큰 도움이 댄다. |
227 | 없음 |
228 | 행사,축제정보공유 |
229 | 카카오톡으로 행사 정보 시정소식 알림 |
230 | 0 |
233 | 지역의 맛집 소개 및 관광지 소개 |
234 | 지금 제공해주는 부분들도 만족스럽습니다. |
235 | 디자인이 깔끔하고 보기 좋은데에 비해 요즘 사람들이 읽기에는 내용이 장황해보일수 있으니 가독성이 높아지면 좋겠음 |
236 | 지금 같이 꾸준히 운영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
237 | 다양한 행사 홍보 |
238 | 홍보가 부족합니다. |
239 | 거제시민들이 편하게 접할수있게 홍보를 해주세요 |
240 | 많은 소식 부탁드립니다~ |
241 | 없응 |
242 | 이벤트 자주 해주세요 |
243 | 시정에 대한 소식 |
244 | 잘 모르겠다 |
245 | 함께 거제 같은 경우에는 점점 유용한 내용이 없고 사진만 내세우는 느낌이 있어서 실망이고 카톡으로 알려주는 거제 소식은 접하기 편해서 너무 좋다 |
246 | 만족해요 |
247 | 자유로운 소통과 거제 소식 |
248 | 진행 예정인 사안들에 대해서도 알려주면 좋을것 같아요 (특히 행사 같은거요~ 타지역분들이 여행계획을 짜면서 어떤 행사를 하는지 물어보기에 미리 알려주면 계획짜는데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
250 | .. |
251 | 잘모르겠다 |
252 | 연중 확정된 행사정보는 어느 기간에 개최되는지 월단위라도 년간 행사정보를 지속 알려주면 좋겠음. |
253 | 현행 만족 |
254 | 지원제도를 검색할때 잘 찾아볼수있게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255 | 없음 |
256 | 지역 커뮤니티 강화 및 참여 독려 |
257 | 감사합니다. |
259 | 정보의 다양성으로 소통의 방법과 이해도가 높아짐 |
260 | 더욱더 많은 정보 부탁드립니다 |
261 | 현 상태 유지 |
262 | 도로 교통상황 공유 |
264 | 더운데 계녹해서 수고하세요 |
265 | 생각햐본적이 없어서 현재는 없습니다 |
266 | 물놀이터 소식을 자세히 미리 기재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267 | 없음 |
268 | 좋아요 |
269 | 부동산 |
270 | . |
271 | X |
272 | 지금도 만족합니다. |
273 | 거사모나 블루거제에도 홍보를 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
277 | 팔로워 사서 운영하는 아줌마들 이상한 릴스보다 카드보드뉴스를 더 자주 만들면 좋을거같습니다 |
278 | 거제의 안전과 관광지 소식 |
279 | 다양한 정보를 많이 노출시켜 정보가 공유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280 | 홍보가필요할거같아요 |
281 | 거제 숨은 명소 찾기 |
282 | 거제장날을 대외적으로 소개를 많이 해주십시오 다른 지역은 시장활성화시켜서 발전이 많이 되는거같아요. |
283 | 없음 |
285 | 없음 |
286 | 소식을 잘 전해주고 있어서 좋아요~ |
287 | 하 SNS 이런거 말고 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그런걸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거제시 주관하는 소개팅도 단순 방치형 연애 시뮬레이션 마냥 자 이제 알아서 하세요 그런식으로 하지말고 제대로 좀 해서 연결될수 있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아울러 지금 엠파크 거리라든지 여러 도로 헤집어 놓은것도 임시라도 주차금지선이나 이런걸 조치를 하던지 아니면 빨리 원복을 하던지 했으면 좋겠습니다 너무 엉망입니다. |
288 | 축제 정보 |
289 | 카톡으로 시 행사를 조금 더 홍보해주세요 |
290 | 시민참여 컨텐츠가 있음 좄겠어요 아니면 건의 할 수 있는 코너가 더 활성화 되었으면 해요 |
291 | 현재 만족합니다 |
292 | 홍보 |
293 | 의견 없음 |
294 | 정보공유 하면좋죠 |
301 | 실제로 여행이나 생활에 바로 접목가능한 정보 위주의 제공 |
302 | ! 모두가 관심도가 높아집니다. !! 정보를 읽게되면 서어비스가. 달라질 것 같습니다. !!!많은 정보들이 좋은 홍보가 될것이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
306 | 복지사각지대에 계신분둘 인터뷰좀 부탁드려요 |
308 | 행사나 축제는 다 끝나고 나서 이렇게 진행되었다. 라고 올리는 경우도 있던데 작고 사소한 일정이라도 미리 공지해주시고 취지나 목표가 잘 드러나도록 올려주세요. |
313 | . |
315 | 다양한 컨텐츠 정보 공유 |
316 | 홍보강화 |
319 | 전년도에 비해 올해는 도시재생개발대학 등 각 기관 활동소식이 미비합니다. |
322 | 상세하고 확인된 정보 |
324 | 소통정보 |
327 | 행정민원 등을 잘 처리할 수 있게 고정코너 등을 만들어서 안내, 절차 등을 시청홈페이지 들어가서 확인하는 것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
330 | . |
331 | 함께 공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333 |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노력에 감사합니다 ^^ |
341 | z |
344 | 자주 소식 알려주세요! |
351 | 인구, 주택 변동 시황 |
353 | 복지정책 |
354 | 다른시 계정처럼 핫한 게시물들에 유쾌한 댓글들을 남겨서 그 지역 이미지를 좋게 만드는것같아서 거제시계정도 여유가 된다면 참고하시면 좋을것같아요! |
359 | 자유로운 분위기였음 좋겠어요. |
360 | 행사나 축제소식을 주최하기전이나 행사하는날까지 수시로 노출될수있게 해줬으면 좋겠고 카카오톡이나 sns메신저로 시민들 의견을 들어주셨음 좋겠습니다 카카오톡 상담 고객센터같이요 |
362 | 거제시 주체 행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