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안 등록
- 제안 검토
- 공감도 조사
- 답변대기
- 답변완료
신혼부부 정착 촉진 및 외국인·내국인 상생 주거환경 조성 제안
백**
[제안배경]
최근 한화오션 등 대형 조선소 신입사원 채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신혼부부와 청년 세대가 거제에서의 정착을 꺼리고 외부 도시(부산 명지·창원 등)로 주거지를 선택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는 △신혼부부 주거 지원 부족 △문화·생활 인프라 미흡 △주거 안정성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지적됩니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 유입이 늘어나면서 실제로 큰 문제 사례는 없지만 시민들이 체감하는 불안감이 존재하고, 이는 젊은 세대의 정착 기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제안내용]
1. 신혼부부 주거지원 강화
- 전세 및 주택구입 대출 이자지원 상향, 공공임대·행복주택 확대 공급
- 장기 거주 시 거주장려금, 자녀양육지원금 차등 지원
2. 외국인·내국인 모두를 위한 주거정책
- 외국인 전용 기숙사·임대주택 확충으로 주거 안정성 보장
- 인천 차이나타운 사례처럼 외국인 친화형 주거·상권 지구 조성을 통해 외국인 스스로 모여 거주하도록 유도
- 내국인 주거지역은 치안·생활 인프라(CCTV, 보안등, 치안센터 등) 강화로 심리적 안정감 제고
3. 생활·문화 인프라 확충
- 신혼세대 선호도가 높은 보육·교육·문화·여가 시설 확충
- 청년·가족 친화형 커뮤니티센터 조성
[기대효과]
- 신혼부부 및 청년층의 거제 정착률 향상과 인구 유출 방지
- 외국인은 생활 만족도가 높아지고 내국인은 주거 안정감을 확보하는 상생형 주거모델 실현
- 거제시가 “젊은 세대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 내·외국인이 공존하는 도시”로 자리매김
[답변][답변][답변]제안 검토 결과 안내[시행 중]
- 답변자 관리자
- 답변일 2025-10-14
안녕하십니까? 평소 시정에 관심을 가지고 제안이라는 소중한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리며, 귀하께서 제안하신 ‘신혼부부 정착 촉진 및 외국인·내국인 상생 주거환경 조성 제안’ 건에 대한 검토 결과를 안내드립니다.
현재 우리시에서는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신혼부부 주택구입 대출이자 지원사업」 및 「신혼부부 주택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을 시행 중에 있으며, 「신혼부부 주택구입 대출이자 지원사업」의 수요 증가에 따라 보다 많은 대상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경상남도 주택과에 예산 증액을 요청한 상황입니다.
한편, 거제시 공공임대주택(해뜰안애아파트)은 입주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원활한 공급을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예비입주자를 모집할 계획이며, 모집 일정 및 방법은 추후 거제시 홈페이지 내 공고문을 통해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또한 우리시는 가족센터를 중심으로 외국인의 지역 내 안정적 정착과 내국인과의 통합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조선소가 인접한 옥포 지역은 지역 원주민과 외국인을 위한 기반시설이나 생활환경 등이 조화롭게 구축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양육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자 출산순위에 따른 출산장려금을 차등지급하고 있고, 공동육아나눔터 3개소와 가족센터 운영을 통해 소통, 상담, 교육, 문화프로그램 등 다양한 가족지원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양육 친화적인 사회환경 확립과 가정의 지역사회 안착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사업들은 향후 확대 및 강화해 추진할 계획이며 시민분들의 소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보다 나은 복지 정책을 마련해 나가겠습니다.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거제시 건축과 건축행정팀(055-639-4677), 가족정책과 가족지원팀(055-639-4393)으로 연락주시면 안내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
김○○
공감합니다2025-09-23 14:20:28
-
박○○
공감합니다2025-09-21 12:38:55
-
강○○
공감합니다2025-09-19 16:38:32
-
여○○
공감합니다2025-09-18 11:46:10
-
방○○
확인2025-09-17 20:51:04
-
정○○
공감합니다2025-09-11 13:37:09
-
이○○
공감합니다2025-09-11 13:34:09
-
강○○
공감합니다2025-09-11 12:48:35
-
윤○○
공감합니다2025-09-11 11:22:57
-
성○○
공감합니다2025-09-11 11:21:06
-
김○○
공감합니다2025-09-09 22:18:07
-
배○○
적어지는 인구에 좋은 정책들이 많이 생기기를 응원합니다2025-09-09 12:31:15
-
서○○
확인합니다2025-09-09 11:48:44
-
강○○
공감합니다2025-09-09 06:58:41
-
정○○
제안확인2025-09-08 16:32:31
-
반○○
공감합니다2025-09-08 13:13:30
-
박○○
공감2025-09-08 13:10:40
-
박○○
확인합니다.2025-09-06 22:28:19
-
김○○
공감합니다2025-09-05 23:35:34
-
박○○
공감합니다2025-09-05 1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