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소통 12주차$$[릴레이소통12주차]더 건강한 거제시를 위한 주민건강요구도 조사
- 설문기간 : 2025-09-01 09:00 ~ 2025-09-07 18:00
릴레이소통 12주차
주제는 "더 건강한 거제시를 위한 주민건강요구도 조사"입니다.
거제시 보건소에서는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건강요구와 필요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맞춤형 건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설문에 참여하신분 중 10명을 추첨하여 커피쿠폰을 보내드리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정책제안에도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 거제시 지역 건강문제의 주된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음주(과음)
23.37% (111명)
- 운동 부족
30.53% (145명)
- 흡연
12.21% (58명)
- 약물 남용
0.21% (1명)
- 스트레스
14.53% (69명)
- 고령화(노인성 질환)
13.47% (64명)
- 불규칙한 식생활(영양)
4.42% (21명)
- 기타
1.26% (6명)
- 스트레스, 음주 포함 전부 다
- 운동 시설 부족
- 거제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마다 틀린거 아닌지요
- 경기회복의 불가능이 잠차적 확고히 자리잡혀 가는 현실에 자포자기되는 경제활동.
- 업무의 과중
- 조선소 중노동
- (총 475명 응답)
2. 지역 주민을 위해 가장 최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건강증진사업은 무엇입니까? (2개 선택 가능)
- 신체활동·비만예방(걷기, 체조교실 등)
29.99% (224명)
- 금연사업
10.71% (80명)
- 영양사업
3.21% (24명)
- 모바일기기 활용 헬스케어
6.83% (51명)
-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고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등)
20.35% (152명)
- 의료취약계층 방문건강관리
8.03% (60명)
- 음주습관개선(절주)
7.63% (57명)
-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0.54% (4명)
- 구강보건사업(어르신 틀니·임플란트 지원, 취약계층 이동진료 등)
3.88% (29명)
-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3.21% (24명)
- 임산부 지원, 영유아 건강관리
5.62% (42명)
- (총 475명 응답)
3. 생애주기별로 대상을 구분하였을 때, 우선적으로 건강증진사업을 추진해야 할 대상은 누구입니까?
- 산모/영‧유아
16.21% (77명)
- 아동·청소년
17.47% (83명)
- 성인
40.00% (190명)
- 노인(65세 이상)
26.32% (125명)
- (총 475명 응답)
4. 의료취약계층 중 건강증진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상은 누구입니까?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35.79% (170명)
- 장애인
9.89% (47명)
- 다문화 가정
5.89% (28명)
- 독거노인
41.26% (196명)
- 기타
7.16% (34명)
- 독거노인과 기초생활수급자
- 모든 시민이 대상이 되어야합니다.
- 일반 시민과 동등하게 추진
- 일반 세금 잘내는 사람 대상
- 일반 시민들
- 평등하게 모두
- 직장인
-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시민 모두
- 거제시민 모두
- 비만, 심혈관 질환자나 경도환자
- 일반인들도 혜택을 주세요
- 모든 시민들에게 공평하게.
- 모두가 공평하게
- 일반인
- 거제시 전체 성인들의 문제임..일반 직장인들이 복지 혜택을 제일 받지 못 함
- 60세이상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사업이 진행되었으면 합니다~~
- 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인데 우선권을 따진다니요!!!!!
- 굳이 지자제에서 추진해야할 사업인지 국가에서 홍보진행하면 될거같네요
- 이미 기초생활수급자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사업이 집중 되어 있음 일반 시민 대상 보건사업 추진도 필요함
- 육아가정
- 아동, 청소년
- 개인
- 일반 성인
- 계층 전 구간
- 전체 대상
- 열악한 환경의 어린이
- 거제도 거주자대상으로 조선소 노동자 대상 년2회정도 물리치료 지원사업
- 모든시민
- (총 475명 응답)
5.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해야할 것은 무엇입니까?
-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및 캠페인
23.37% (111명)
- 주민대상 집합교육(전문강사 교육, 건강프로그램 등)
16.42% (78명)
- 1:1 맞춤형 건강상담 및 교육
21.05% (100명)
-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유선, 모바일 등)
17.89% (85명)
- 건강환경 조성(건강계단 조성, 금연환경 조성 등)
21.26% (101명)
- (총 475명 응답)
6. 더 건강한 거제시를 위해 건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서술형)
항목 | 답변내용 |
---|---|
3 | 시민들 대상으로 건강 관련 교육이나 운동 프로그램 홍보. 의료취약계층에 속한 사람들 지원 |
5 | 거제시민들이 건강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소 이미지였으면 좋겠고 시민들의 건강을 위해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와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6 | 특정 계층에 치우지지 않는 보편적인 건강정책을 추진해주세요 |
14 | 없음 |
28 | 학생흡연자들이 너무 많습니다ㅡ 금연의 중요성을 못느끼는거같아요 학교에서 좀더 강하게 흡연하지않게 해주세요 |
35 | x |
45 | 보건소가 몇군데 없어서 접근하기가 쉽지 않네요 동별 보건소가 필요함 |
53 | 걸어다니면서 흡연하시는분, 금연구역 흡연자 너무 많습니다. 보행자들이 건강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흡연자 의식개선과 캠페인이 절실합니다. |
54 | 우천시 도로 라인이 안보이는 곳이 많아요. 엉뚱한데 쓰지말고 도로 라인 정비 좀 해주세요!! |
56 | 공원등의 부지를 활용해서 매일 일정시간(새벽, 저녁)에 맨손체조, 에어로빅, 근력운동 프로그램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
60 | 오늘은 괜찮겠지 하는 맘으로 건강을 뒤로 하며 바쁘게하루하루 살아가는 부모 또 청년들을 위해 더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각자의건강의 소중함을 지키며 가족의 행복도 지킬수 있도록 하길바랍니다 |
61 | 노인들에 대한 건강관리 및 지원프로그램 필요 |
65 | 현재 진행중인 걷기 챌린지 등의 좀 더 다양한 이벤트 실시 및 주민자치 센터 등을 통한 활동할 수 있는 좀 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면 합니다. 운동 을 학원에서만 아닌 일반인이 저렴하게, 직장인이 퇴근후 접하기 쉽게 할성화 되었으면 합니다. |
68 | 일반 시민들을 위한 지원을 늘려주세요. 지자체 등 기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긴 하던데 항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등 사회적 약자들만 참여 가능하더라구요. 오히려 일반 시민들이 소외 받고 차별 받는 거 같습니다. 애초에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고 지원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전부한 거 같습니다. 한정된 자원 예산이 문제라면 추첨을 통해서라도 일반 시민들이 지원 받을 수 있도록 개선바랍니다. |
69 | 이통장들 활용한 적극홍보 필요 |
71 | 주민센터, 노동자복지회관의 자치 프로그램으로 건강관련 수업이 있는 것이 정말 좋습니다. 정신 건강을 위해 악기, 음악 관련 활동도 다양해지면 좋겠고 이런 건강을 위한 강좌들이 더 활발해 질수 있도록 발표회, 대회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지원되고 운영되면 좋겠습니다. |
72 | 조선소 근무하는 사람들 술담배 경각심이 너무 낮습니다....매일...술을 마셔요...ㅜㅜ금주관련 주민대상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
76 | 자발적인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환경조성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걷기 좋은길, 보도블록 누락된 곳 정비, 조명시설 추가 공사 등 |
79 | 아파트 화장실에서 흡연하는 통에, 그 라인 호수 사람들이 모두 고통받고 있어요 ㅠ 공동주택 흡연문제 해결할 수 없나요. 담배도 안피는데 365일 간접흡연이에요 ㅠ 법적인 제재는 할 수 없나요 ㅜㅠ 아니면 대상 주민 사회교육 이수라든지 귀찮게 할 순 없나요 ㅠ 엘리베이터 벽보 붙여도 나아지질 않으니 너무 힘들어요 ㅠ |
80 | 지역주민센타에 성인등록후 건강관리케어를 지속적으로 수치를 관리하도록 했으면합니다.1년,6개월 단위로 건강상태 체크를 하며 관리하도록 추진바랍니다. 건물은 지어놓고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81 | 걷기라던지 가까운 장소에서 운동할수 있는장소가 필요항 |
83 | 건강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세요 |
90 | 생활속의 건강 지키기를 실천하기위해 차량 대신 자전거 또는 걷기 생활화를 위해 인센티브 제도 마련. |
95 | - |
96 | 아이들이 많은 아주동에 맑은 물이 흐르는 하천(깊지도 않아) 물놀이 공간을 다른 지역처럼 마련해줬으면 좋겠어요. 물놀이 공원은 수족구및 한정적인 물 정화 순환으로 질병발병 위험률이 높고 꺼림직합니다. |
102 | 요즘 런닝이 유행처럼 번지고있으나 차도위를 달린다던가하는 위험도있고 런닝에 좋은 길안내?가 부족한 듯 보임. 표지판이나 이정표등 홍보했으면 함 |
105 | 기초생활수급자분들은 지원이라도 받지만 밭이있다는 이유만으로 지원되는게 없으신 독거노인분들 그분들은 현금이 없어 아끼고아껴 병원도 잘가지않으십니다 자식이있다고 해서 매달 용돈을 주시는것도 아니고 수급자어르신들 외 독거노인분들에 대해 신경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106 | 스트레칭 교실을 많은곳에서 운영하고 지원했으면 합니다 |
109 | 일부가 아닌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게 해주세요 |
112 | 독거노인들은 병원가려고해도 힘든게 사실입니다. 좀 더 마음 편하게 갈 수 있도록 해주시고, 심심한 노인들 1일 2~3군데 가는 병원 쇼핑 막아서 독거노인들 지원 |
113 | 어르신들을 위해 찾아가는 서비스를 더 많이 해주세요 혜택을 못보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있더라구요 |
114 | 부담없이 건강관리에 시민들이 도전할 수 있도록 이번에 거제산타GO등의 어플 개발같은 것 적극찬성입니다. 또한 마음건강같은 상담은 직장인들이 참석하기 너무 어려운 시간대에 진행하고 있다는 것도 불편사항 입니다. 당뇨환자들은 위한 당뇨식 만들기 프로그램, 건강한 산보(산책)/걷기 행사 (NO 마라톤), 동네 공원 (달빛, 밤이 아니라도 상관X) 운동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증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120 | 독거노인과 조손가정 돌봄서비스가 더 확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교통약자 바우처 택시 홍보가 더 이루워졌으면 좋겠습니다 |
122 | 건강교실을 개강하여 강좌를 하고 걷기지도자 과정등과같이 변화할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및 수업진행 |
127 | . |
131 | 꼭 필요한 대상을 선정하는게 중요 |
132 | 아파트 등 주거시설 금연홍보사업 적극 홍보는 지나치지 않습니다. |
134 | 조선소에서의 여유로운 식사유지 및 질좋은 음식재료 제공 아동 운동지원 (예체능사교육 특히 많이 듬) 가정엣니 지원 하기가 많이 부담스러움 |
136 | 금연구역 활성화 그리고, 아픈 비취약계층도 지원될수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137 | 1인 가구, 소외계층 등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건강 프로그램을 개발 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특색있는 건강 활력 공원, 아이들을 위한 재미있는 놀이기구 등이 있는 차별화 된 체육시설이 만들어 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참고로 워크온 건강걷기 챌린지는 열심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 |
138 | 질환자나 의심 환자들에게 경각심 부여 강좌, 운동법, 식생활 관리 참여자 성공시 혜택 |
140 | 보건소의 기능이 축소되고 보건소 운영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건소의 역할 및 건강 프로그랭 확대가 필요합니다 |
146 |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는 건강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한다면 더욱 많은 거제민들이 혜택을 누려 건강한 거제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적극적인 홍보와 인센티브로 많은 거제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한다면 더욱 좋겠습니다. |
147 | 자전거길 확충 |
151 | 노인일자리는 60~70대까지만 하게하고 70이넘은 어르신들에게는 건강을위하여 체조나 가벼운 놀이기구사용 운동을 권장하면 어떨까요? 건강하게 사는길이 곧 돈버는것보다 유익하다고 생각함(병원 안가면) |
153 | 운동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 제도 도입 |
155 | 길을가다보면 쓰레기로 너무 지저분합니다.환경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주변 환경청소가 필요합니다.걷기를 하다보면 더 스트레스 받습니다. |
157 | 건강에 우선을 두어야하는 경우는 건강하지 못한 모두가 해당 되어야 합니다 |
162 | 공원 강의실 산책로 등 |
165 |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발굴 및 다양한 행사진행을 통한 시민들 참여유도와 적극적인 동참을 끌어내야 합니다.특정인들을 위한 시설보다,누구나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노후 체육시설 교체.보수도 시급하게 이루져야 할 것 같습니다. |
167 |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건강체크 필요합니다. |
173 | 웰빙공원같은 공원이 접근하기쉽도록 곳곳에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174 | 보건소이용룰이 많지않읏데 그인력 앉아있지말고 방문진료많이해야합니다 |
178 | . |
187 | - |
192 | 다문화 가정은 세금더내나요?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거 별로에요. 똑같은 가정이루고 사는데 다문화가정은 어쨌든 한국인이랑 사는데 혜택보고 외벌이 가정도 혼자 돈버는데 혜택보는건 불공평해요. |
205 | 의료의 사각지대에 있는 분들을 적극 찾아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해드렸으면 좋겠네요 |
207 | 일반인들도 혜택을 좀 받았으면좋겠네요 |
211 | 저소득층 배려 바랍니다. |
212 |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
215 | 65세이상의 노인연령대상 운동캠페인이야말로 건강보험금 절감 효과 등 국가예산 낭비없는 예방교육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면 좋겠습니다 |
219 | 장애인좀 보살펴주세여 |
220 | . |
224 | 거제시민이 더 건강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과 관심이 이어지면 좋겠습니다. |
225 | 걷기운동 ㆍ취미활동 |
227 | 건강관리센터 설립 공원 증설 |
233 | 산책로는 잘 만들어놨지만 해당 산책로로 오토바이가 다님 단속 또는 오토바이가 출입못하게 설치좀 했으면 합니다. |
239 | 다양한 건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홍보 및 캠페인으로 건강한 거제 시민을 만들어 갔으면 좋겠습니다. |
245 | 건강 프로그램, 캠페인이 많이 필요하고 타 지자체의 벤치마킹도 필요합니다 |
250 | 거제시 주관 프로모션 성공시 쿠폰지급 체지방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금연,체지방.심혈관 질환등) |
251 | 건강관리 우수사례 홍보 및 체계적관리 |
258 | 흡연구역을 정해서 길에서 흡연하는 사람들이 줄었으면 합니다 |
262 | . |
263 | 조깅, 산책 코스에대해 좋은곳이 많습니다. 잘해주고 계신데 노면 상태, 잡초 관리등 잘 부탁 드립니다. |
264 | 최근에 하고있는 공원운동프로그램처럼 누구나 참여할수 있는 교육이나 행사가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
265 | 건강생활을 위해 시에서 저렴한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건강장려 캠페인 및 홍보가 절실해 보입니다. |
267 | 산책할 수 있는 공원을 많이 만들어주세요 |
268 | 요즘 다문화 우선사업이 많은데 기존 거제시민에게 먼저 혜택을 주면 좋겠습니다. 한자녀는 아무런 혜택이 없어요. |
270 |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 정책 관련 홍보를 위한 팝업 스토어 개최 |
281 | 다양한 건강환경 조성을 통한 일상생활의 운동 인식 개선 |
282 | 건강증진을 위한 실질적이고 활용하기 편한 다양한 환경조성 |
283 | 건강을 위한 걷기좋은 길 많이 홍보하기 |
287 | 거제시 전역을 힐링산책로 및 자전거도로 조성이 되었으면 합니다. |
289 | 거제시 초 중 고등학교 주변에 금연구역 확대 어린이공원주변 금연구역확대가 필요합니다 |
292 | 운동프로그램 확충 |
294 | 없다 |
295 | 청년과 중장년의 기준을 보다 명확하고 정확한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99 | 감사합니다. |
301 | 쉽게 건강을 위해 운동을 접할 수 있게 생활체육수업이 무료로많았으면 좋겠습니다! |
302 | 금연클리닉 방문이 힘든 직장인들을 위해서 모바일이나 유선상담으로 해줫으면해요 솔직히 가고싶지만 주부가 금연클리닉 찾아가는것도 챙피해요ㅠㅠ 약이나 처방전 금연보조기구등은 택배나 배달로받았으면해요 |
304 | 먼저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소의 노력에 감사 드립니다. 이런 여러활동을 아직도 모르는분들이 많은거 같은데 보다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것으로 생각합니다. |
305 | 소외계층 건강관리 사업을 했으면 좋겠어요 |
309 | 절주홍보수단 확대 |
313 | 지속적 건강관리위한 산책로 발굴및관리 |
319 | 미래의 아이들인 아동 청소년에게 관심 가져 주세요. |
321 | 보건소가 손님도엏는데 앉아만있지민고 주기적인 방문진료 햇음좋겠네요 |
324 | 1, 병원 진료과가 다양했음 좋겠습니다 진료과 부족으로 부산이나 진주 병원으로 많이들 갑니다 2, 길에서 걸으면서 흡연하는 사람이 많습니다.출근길에 간접흡연을 매일 하고 있습니다ㅠㅠ |
331 | 접근성이 좋아야 할꺼 같습니다. 보건소의 운영시간에 맞추다 보면 직장인들은 이용이 거의 불가능 하거나 연차 월차 등등의 생업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들이 더러 있습니다. 보건소의 운영시간을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야간 운영 또는 연장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이미 운행중이라면 홍보가 적극적으로 필요 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건소가 심뇌혈관질환의 검사를 무료로 시행하는 것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진드기 퇴치제를 나눠주는 것에 대한 인지와 금연사업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SNS 활동이나 대학생 서포터즈 등등을 활용하여 이런 보건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 적극 적으로 알려주시면 좋을꺼 같습니다. ^^ 진짜 좋은 프로그램이 많던데 시간적인 부분과 내용을 몰라 이용 못하는 분들이 더 많은거 같습니다 꼭 되면 좋겠습니다. |
334 | 보건소에서 시민들 대상으로하는 프로그램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335 | 일반 직장인들은 복지 혜택을 받지 못 하는 것 같습니다..직장인들이 건강해야 30대부터 50대까지의 가장들이 건강을 개선.유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중공업지역이라. 폐질환.피부질환등이 많이 걱정 됩니다..관련한 검진과 건강프로그램도 진행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343 | 의료취약계층에 다문화가정이 왜있는건지 이해가안됩니다. 각 가정마다 경제상황에 따라 의료취약이 나뉘는거지 않을까 싶네요. |
350 | - |
351 |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 |
356 | 파이팅입니다!! |
360 | 치료에 앞서 예방을 위한 운동을 통한 신체활동이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건강을 위한 활동이 향후 더욱 가성비 좋은 방안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존 틀에서 벗어나 독일 등 모범선진국의 프로그램을 적용한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이 다양화 되길 바랍니다. |
368 | 없음 |
370 | 주민들과 더 밀접한 관계을 가지기위해서는 동.면 문턱이 낮아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371 | 청소년들 흡연관련 홍보및교육 프로그램추진 |
372 | 홍보가 부족해요 |
375 |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거제로 |
376 | 취약계층이 부담없이 건강검진을 받을수 있도록 보건소 등에서 적극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홍보하면 좋겠습니다 |
378 | 요즘, 연초천에서 운동하고있는데, 예전보다 사람이 더 많아진 느낌입니다. 접근성 좋은 공간을 잘 조성한다면, 큰 효과가 있다는 걸 깨닫네요. 시에서 많이 노력해주세요. |
379 | 참여할수있는 건강 캠페인이 늘었으면 합니다 |
380 | 노동 집약적 산업이 도시이다 보니 퇴근후 음주 회식.음주 문화가 비일비재 합니다. 자연스레 자녀들도 학교 학원을 오며가며 보고배우는것 같구요. 아주동 및 장평동 중심으로 길거리 금연구역 지정도 필요해 보이고 자녀들 학원.학교 다니는 곳에는 금연구역 지정 및 저녁시간 단속이 필요할듯 합니다. |
381 | 거제시 노인사회활동사업의 일환으로 초.중등학교앞 어르신분들의 업무전에 몸풀기 운동을 시키시고 안전요원으로 일에 임하시면 좋겠습니다.연로하셔서 더 안쓰럽습니다.쓰러질듯이 보이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
382 | 휠링 건강 산책로 를 면,동에 많이 조성요. |
383 | 제발 길거리 및 금연구역 흡연 좀 단속 좀 해주세요 심해도 너무 심합니다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쓰레기도 너무 심각합니다 |
390 | 가족 함께 걷기 켐페인 및 행사 |
394 | 운동할수있는 공원 조성 |
400 | 공원한곳이 아닌 그곳을 걸어서 갈수 있게 연관도로들까지 함께 정비하는것이 필요하다 |
401 | 각 연령대의 의료 부분에서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
407 | 보건소에서 걷기참여유도 행사 좋은것같아요 |
409 | 먼저, 아이들은 어느정도 부모가 보완, 80대이후는 그 전에 교육화된다 보고, 1. 청년들의 정신건강, 신체건강을 위한 비대면/대면교육 활성화 2. 50~70대까지 1:1 건강 상담 및 행동 교육 |
410 | 금연거리 만들어주세요 |
421 | 안녕하세요. 거제시에 오래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서. 행정에 계신. 모든분들께서애써 주신 덕분으로 사람들은 각자가 알아서 행복한 마음으로 잘 살아가고 있습니다.. 제2의 아름다운 섬 거제도는 가보고 놀다 오고 또 보고 싶은. 곳으로..... 하지만, 사람들은 환경이 나를. 돕고 좋다는 생각을 많이 하지는 않는거같습니다. 또한 흥은 나지 않아서 떠나 가기도 하니까요.. 아름다운 제2의 도시인 섬 거제도... 그렇지만 제가 봐도 아름다운 거제도입니다. 더욱 발전 시키는 방법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자원봉사활동을. 다녀와서 이 곳이 제2의 고향인 거제도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저의 작은 생각을 적어 보기로 했습니다. 실용적이고 섬을 다 거닐면서. 또는 달리면서 볼 수 있담 참 좋겠습니다. 이는 어린이들부터. 성인 까지 친환경적이고 ..돈이.적게. 건강을 다지고 관리하고.구경하고. 몸에 쌓인 스트레스도 .... 신선한 바닷바람을 맞으면서 섬의 곳곳을 누비는 것 무엇인가 조금 달라진다면 .... 거제시가 더욱 튼튼하게 제2의 섬의운명이 바뀌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자전거도로? 온 섬을 둘러보는. 섬의 풍경들 달리는 *전용열차?... 우리 거제시를 살찌우는 일이 조금이나마 되지 않을런지.... 여기에 맞는 정책이 새롭게 활기찬. 희망의 거제로 발돋움 했으면 참 좋겠습니다. 저의 작은 생각을 자원봉사를 다녀와서 써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424 | 많은 프로그램 참여 |
425 | 거제 식품 좀 저렴하게 팔아주세요 거제는 섬이라 물가가 비싼곳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429 | 거제시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충격파 기기를 설치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비용은 1천원정도) 제발 부탁드립니다. |
430 | 시민건강 증진을 위한 체육시걸 확충 |
431 | 1.노인들에게 운동장에 나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어 본다. 예:걷기,달리기,게이트볼,그라운드 골프등을 의무적으로 하면 인센티브를 주나. |
432 | 없음 |
433 | 워크온과 같은 모바일 걷기 앱은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세대에게는 효과적이지만,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지 않은 고령의 어르신, 부모님들은 쉽지 않더라구요. 고령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非)디지털 방식의 걷기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세요. |
436 | 시장님의 건강캠페인관련 현장활동 강화 필요합니다. |
444 | 거제시 보건소는 이제 모바일 이벤트가 아닌, 직접 거제시 보건소를 찾아오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열었으면 좋겠습니다. 제발 워크온 이런 이벤트는 그만 했으면 좋겠네요. 누구를 위한건지 모르겠어요. 실컷 걸었는데도 참여해도 상품을 받지 못한 시민들은 시민들대로 불만이거든요. 참여 과정도 번거롭구요. 거제시 보건소가 이런 사실을 인지는 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누구보다도 보건소에 오시는 분들이야말로 보건소가 꼭 필요하신 분들이 아닙니까? 직접 오시는 시민분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447 | 모바일 홍보로 전달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것은 요즘은 무엇인가 모르게 급하고 무관심 바쁜세대가 많으며... 바쁘고. 모르고.잊어버리고. 관심없고. 간접적 홍보보다 직접적인 홍보가 매우 효율적이지 않을까요? 감사합니다. |
448 | 무료 또는 저렴한 문화센터나 체육시설 좀더많아지길바람 |
449 | 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정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음성지원, 이미지지원, 텍스트지원을 강화해주세요. |
450 | 거제시에서 시민들과 함께할수 있는 걷기운동등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더 늘이면 좋겠습니다. |
454 | 간접흡연이 많이 발생합니다. 흡연장 개설 및 흡연자 인식 개선 필요합니다. |
455 | 좀 더 다양한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면 합니다 |
457 | 주소지 거제도 대상 조선소 노동자 물리치료 또는 도수치료 또는 마사지 년 2회 지원사업 하면 좋을듯 함 |
458 | 저는 지난 아름다운 거제로 오게 된 젊은날 들 20대. 후반에서 지금까지의 삶의역사가 많습니다. 남편의 직장 조선소와. 함께해서 옥포에서만 몇 십년을. 살아오는, 돌아다 보니 거제는 상전벽해가 되었습니다... 거제시행정에 계신 분들의 노력이 엿 보여서. 많이 감사합니다.. 건강한 거제시가 되고 시민을. 위한. 삶의 기본적인 시스템으로. 모든 시민들이 기본적인 건강 생활들을 지키고 살아갈 수 있도록 지금보다 더욱 행복 지수를 끌어 올리는 것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고 오는것은아니고. 노고가 많이 요구되는 일이기도 합니다..... 행복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거제시가 되려면?,,,, 저는 제2 의 고향인. 여기 거제에서 처음에는 떠나려고. 생각을 했었던. 때도 있었습니다. 여러가지 많은것 들중 생로병사 중에서도. 안정된 생활이 가장 우선시 돼야 함을 아주 중요히 여기는 사람입니다. *건강 관리체계로. 부터 시작해서 결혼~ 아이출산~ 바다를끼고 있는 아름다운 환경에서 만끽하고 노는 곳... * 거제시 큰 시장터 를 개발한다면. 어떨까요? 현재는 인구 감소로 장터는 활기가 없다고 합니다... 물가가. 비싸지 않는 장터와 풍로운 큰 장터로 인해 삶이 활기가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드립니다. 이는 삶의 건강한 품 질이. 달라지리라 생각을 갖게 됩니다. 다른 도시로 떠나가지 않고 들어오게 되는 것은 현재에 놓여 있는 인구 감소로. 이어지는 모든 현상들이 풍요로운 일자리부터 건강한 삶이 함께가는 것 ..... 미래에 더욱 행복한 거제시가 되지 않을까요?.... 거제도는 클거자로 시작된 섬의 깊은 뜻을 생각해 보게되는 오늘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464 | 노인성 질환 수술비 지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471 | 언제 어디서든 편하게 운동이나 산책 할 수 있게끔 도심 속, 주거지 속에 산책길 도보길을 정비하고 깨끗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운동 관련 프로그램도 확충하여 중장년에서부터 참여 할 수 있는 혜택을 주는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474 | 거제시는 경치가 좋고 공기도 좋습니다. 100세 시대에 대비하여 건강 관리를 잘 할수 있도록 자전거 도로확충 했으면 합니다. 서울에서도 올 정도로 훌륭하게 만들어 전국 최고의 자전거 도로의 도시가 되었으면. 지방 소멸 시대에 거제시가 잘 되었으면 합니다 |
475 | 금연구역 단속 철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