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타워 예매※정글타워 전용 매표소에서 손목밴드 발급 필수
자연과 함께하는 공간! 거제식물원
국명: 수퍼붐 박쥐란
학명: Platycerium superbum de Jonch. & Hennipman
영명: Staghorn or Elkhorn ferns
수퍼붐(P. superbum) 박쥐란은 고란초과(Polypodiaceae) 박쥐란속(Platycerium)에 속하며 나무에 착생해서 자라는 양치식물(羊齒植物; Pteridophyte)이다. 호주에만 자생하는 특산종으로, 뉴사우스웨일즈와 퀸즐랜드에서 자생하는 박쥐란으로 호주 동부 브리즈번강과 헤이스팅스강 유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주로 박쥐란 동호회를 중심으로 재배되며, 최근 식물을 테마 조성된 카페에 전시되고 있다.
수퍼붐 박쥐란은 1828년 호주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1830년 중반 필리핀 루손(Luzon)에서도 발견되었다. 오랫동안 대왕(P. grande) 박쥐란의 자생지는 호주와 필리핀으로 인식되었지만 1970년 호주와 필리핀 대왕 박쥐란이 별개의 종으로 밝혀지면서 한 종은 기존 대왕 박쥐란으로 다른 한 종은 신종으로 분류되어야만 했다. 원래 최초로 발견되고 대왕 박쥐란으로 분류되었던 호주 자생종이 대왕 박쥐란으로 남아 있어야 하지만 당시 ‘국제식물명명규약(ICBN)’에 따라 박쥐란을 분류했던 학자들의 오류로 인해 뒤늦게 보고된 필리핀 자생종이 대왕 박쥐란으로 남게 되었고 원래 대왕 박쥐란이였던 호주 자생종은 신종인 수퍼붐 박쥐란으로 분류되고 말았다. 이런 박쥐란 분류 역사의 오점으로 인해 수퍼붐이 분류된 지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은 수퍼붐 박쥐란과 대왕 박쥐란을 혼동하고 있다.
수퍼붐 박쥐란은 대왕(P. grande) 박쥐란 처럼 야생에서 3미터 이상 자라며 거대한 몸집으로 초대형 박쥐란으로 분류되고 있다. 수퍼붐 박쥐란은 많은 양의 성상모로 덮여있고 왕관 형태로 직립하는 영양잎(營養葉; Sterile fround)과 커다란 포자낭(胞子囊; Sporangium)군이 좌우 1개씩 형성되는 생식잎(生殖葉; Fertile Fround)이 특징이다.
수퍼붐 박쥐란은 자구(pups)를 생성하지 않고 단독으로 살아가지만, 키 큰 나무의 높은 곳에 착생한 경우 아래로 떨어진 포자(胞子; Spore)들이 나무의 중간에 열을 맞춰 발아하고 성장하는 경우가 있어 간혹 수직형 군생을 형성하기도 한다.
ⓒA Glossary of Plant Terminology Easy to Understand,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Korea National Arboretum), Wikipedia,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 K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