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이야기

자연과 함께하는 공간! 거제식물원

이달의 식물

댕강나무(줄댕강나무) (2025년9월)

  • 조회 : 43
  • 등록일 : 2025/09/01
  • 작성자 : 식물원운영팀 박정근 주무관

국명: 댕강나무(줄댕강나무)



학명: 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



영명: Fragrant Abelia



 



댕강나무(Zabelia tyaihyonii)는 5~6월에 개화하며, 석회암 지대의 바위틈에 자라는 한국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Korea Endemic Plant)이다. 주로 강원도 및 충북지역의 석회암 지형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보전 가치가 높은 희귀식물(Rare Plant)로 평가된다. 이와 이름이 비슷한 꽃댕강나무(Albelia X grandiflora (Robelli ex André) Rehder)는 6~10월 개화하는 중국 원산의 원예종으로, A. chinensis A. uniflora의 교잡에 의해 만들어졌다. 생육이 왕성하고 관상 가치가 높아, 남부 지방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조경용으로 널리 식재되고 있다.



 



댕강나무(Z. tyaihyonii)는 인동과(Caprifoliaceae) 줄댕강나무속(Zabelia)에 속하며 잎지는넖은잎작은키나무(落葉闊葉灌木; Deciduous broad-leaved shrub)이고, 높이 1-2m 정도로 자란다. 한국에만 분포하며, 국내에는 강원도(영월), 충북(단양, 제천), 평안북도의 석회암지대에 드물게 분포한다.



잎(葉; Leaf)은 마주나기(對生; Opposite) 하며, 길이 3~6㎝의 피침모양(被針形; Lanceolate)-타원모양(橢圓形; Eliptical)의 달걀모양(卵形; Ovage)이다. 잎끝(葉頭; Leaf apex)은 예두(銳頭; Acute)이고 잎밑(葉低; Leaf base)부분은 쐐기모양(楔低; Cuneate)이며, 가장자리(葉緣; Leaf margin)는 전연(全緣; Entire)이다. 양면에 모두 털(毛茸; trichome)이 드문드문 있으며, 잎자루(葉柄; Petiole)는 길이 1-4㎜이다.



꽃(花; Flower)은 5-6월에 일년생가지의 가지 끝에 나오는 머리모양꽃차례(頭狀花序; Head)에 연한 붉은색(淡紅色; Soft Pink)의 양성꽃(兩性花; Bisexual flower)가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5(간혹 3~4)갈래로 갈라지며 꽃받침열편(萼裂片; Calyx lobe)은 길이 3~4㎜의 피침모양이다. 꽃부리(花冠; Corolla)는 길이 1.5~2.2㎝의 긴 깔때기모양꽃부리(漏斗狀花冠; Funnelform Corolla)인데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겉에는 짧은 털이 있다. 꽃부리 결각(缺刻; Lobed)은 달걀모양-원모양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며, 판통(瓣筒; Corolla tube) 안쪽에는 털이 있다. 수술(雄蘂; Stamen)은 4개이고 수술대(花絲; Filament)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花主; Style)는 판통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果實; Fruit)는 긴타원모양(長楕圓形. Oblong)으로 열매 겉에 털이 밀생(密生; Dense)하며 9-10월에 익으데, 꽃받침(花盤; Disk)이 계속 남는다. 씨(種子; Seed)의 길이2-3㎜의 타원모양-달걀모양이다. 결실률이 매우 낮다.



 



ⓒA Glossary of Plant Terminology Easy to Understand, Wikipedia,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Korea National Arboretum), NIBR(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목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