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물방울
약 46억년 전에, 해를 감싸고 있던 가스 구름에서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의 별들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지구가 처음 생성되었을때는 오늘날처럼 물이나 대기가 없었습니다. 이 가스 구름의 아주 작은 알갱이들이 서로 잡아당기고 부딪치는 동안에 점점 더 큰 알갱이로 자랐습니다.
수많은 큰 알갱이들이 아주 빠른 속도로 부딪치면서 생긴 열과의 반응으로 뜨거워져 녹아버렸습니다.
그렇게 해서 쇠와 같이 무거운 물질들이 중심핵이 되고 암석과 같은 비교적 가벼운 물질들이 바깥쪽을 에워 싼 둥근 모양의 지구가 만들어졌으나, 안쪽은 아주 세찬 반응으로 말미암아 계속해서 높은 온도를 지닐수 있었습니다.
여기저기서 일어난 화산 폭발과 더불어 빠져 나온 기체들이 새로운 대기를 만들었습니다.
이 대기는 지금과 달리 메탄가스, 수소가스, 암모니아가스, 그리고 수증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수증기들이 점점 더 크게 뭉쳐져서 더이상 지탱할 수 없게 되자 비가 되어 수백년동안 끊임없이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땅 껍질이 꺼진 부분은 모두 물로 채워져 태초의 바다가 생겨났는데, 바다는 민물바다였습니다.
지구 탄생의 역사에서 물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산들이 깎여 평야가 되고, 이 평야는 다시 바다로 씻겨 들어가며, 지각의 이동으로 바다 속에서 새로운 산이 솟구쳐 오기도 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을 되풀이한 것은 바로 물이었습니다.
태초의 바다에 물이 없었더라면 이러한 일들은 일어날수 없었을 것입니다.
지금도 마찬가지로 모든 생물을 낳고 기르는 생명의 젖줄은 바로 물인 셈입니다.
거제시청 SNS 팔로우하고 시정소식을 받아보세요
담당부서
- 환경사업소 상하수도과 상수행정팀
- 055-639-4881
최종수정일 : 2020-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