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건강관리(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자체)
주거급여의 회계연도, 회계, 조직, 기능, 정책사업, 단위사업 대해 나타낸 표 입니다.
|
회계연도 |
2025 |
회 계 |
일반회계 |
조 직 |
보건소 건강증진과 |
기 능 |
보건 보건의료 |
정책사업 |
보건의료 서비스 |
단위사업 |
시민건강 |
사업개요
사업개요
|
사업목적 |
○ 어르신 자가 건강관리 역량강화를 통한 허약예방 실현
○ 지역사회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의 효율적 확대 |
사업기간 |
연례반복적사업
|
사업규모 |
○ 허약, 만성질환관리 및 건강행태개선이 필요한 65세이상 노인 150명 |
사업내용 |
○ 디바이스(블루투스 체중계·활동량계·혈압계·혈당계·AI스피커)와 스마트폰 앱 연동으로 어르신의 건강상태를 실시간 전송하여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 실시 |
지원조건 |
○ 허약, 만성질환관리 및 건강관리행태개선이 필요한 65세이상 노인
○ 기존 방문건강관리등록대상자(65세이상 노인) |
시행주체 |
거제시장 |
추진근거 |
○ 지역보건법 제11조 |
추진경위 |
○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매년 증가 및 독거노인 비율 증가폭 증가로 65세 이상 건강취약계층의 건강관리에 대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 필요
○ 사망원인별 연령표준화사망률이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이 2, 3위로 56.1명(인구10만명당)을 차지, 계속 증가 가능성이 크므로 선행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 필요
○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향후 신종 감염병 발생 예측으로 인한 사회 전반적 비대면화 및 정보통신기술 발전 가속화로 지역사회 내 어르신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비대면 건강관리 체계 변화 필요 |
추진계획 |
○ 1단계 대상자 등록(150명)
○ 2단계 사전 건강 스크리닝, 군분류(1차 대면)
○ 3단계 디바이스 배포 및 APP실행
○ 4단계 비대면 건강관리
○ 5단계 대상자 평가(2차 대면) |
소요재원
월별배정액
월별(1월~2월) 배정액을 나타낸 표 입니다.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0 |
0 |
630,000 |
630,000 |
630,000 |
0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0 |
0 |
0 |
0 |
0 |
0 |
과거집행현황(최근 5년)
2012~2016년 과거집행현황을나타낸 표 입니다.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0 |
0 |
0 |
0 |
2,012,050 |
거제시청 SNS 팔로우하고 시정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