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어업총조사

조사목적

  • 농림어가의 규모, 분포, 경영형태를 파악하여 농림어업 정책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계획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농산어촌에 대한 학술연구 자료와 농림어업 표본조사의 표본틀로 활용

통계종류

  • 지정, 조사통계(승인번호: 101041호)

조사주기

  • 5년(0자 5자로 끝나는 연도)

조사기준일

  • 당해연도 12월 1일 0시 현재

조사대상

  • 기준시점 현재 조사대상 가구의 정의에 부합하는 모든 농가, 임가, 어가

조사항목

  • 농가․임가, 해수면 어가, 내수면 어가, 지역조사 4종 130개 항목

조사방법

  • 조사원 방문 면접조사

농림어업총조사 게시판 상세보기
2020년 기준 농림어업총조사 결과보고서
담당부서 정보통신과 담당  
연락처 담당자
이메일
등록일 2021/12/13
첨부 2020년농림어업총조사결과(확정).pdf (6737 kb) 바로보기
내용

□ 우리나라 농림어가는 118만5천 가구로 2015년 123만7천 가구에 비해 5만2천 가구(-4.2%) 감소
  ○ 농가 103만5천 가구, 어가 4만6천 가구(해수면 4만3천, 내수면 3천),  임가 10만3천 가구임
  ○ 전주기 대비 동 지역 농림어가 24.0% 증가, 읍․면 지역은 11.7% 감소

 

□ 우리나라 농림어가 인구는 265만1천 명으로 2015년 292만3천 명에 비해 27만2천 명(-9.3%) 감소
  ○ 농가 231만4천 명, 어가 10만4천 명(해수면 9만7천, 내수면 7천), 임가 23만3천 명

 

□ 지난 5년간 농림어가 비중은 6.5%에서 5.7%로, 농림어가 인구 비중은 5.7%에서 5.1%로 각각 0.8%p, 0.6%p 감소

  ○ 농산어촌 인구의 고령화, 산업단지 및 택지조성 등으로 인한 영농어 포기(전업)가 늘면서 농림어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

 

□ 농림어가 평균 가구원수는 전체가구(2.3명) 보다 적은 2.2명으로 2015년에 비해 0.2명 감소 
  ○ 전체 농림어가의 주된 가구 유형은 2인 가구(54.1%)이며, 농가 53.9%, 어가 56.4%, 임가 54.8% 차지

 

□ 농림어가 고령인구 비중은 41.7%로 2015년 37.8%보다 3.9%p 높아지고, 전체인구 16.0%보다 2.6배 높음

 

□ 농림어가 경영주 평균연령은 2015년 64.8세보다 1.0세 높은 65.8세임

 

□ 농림어가 경영주의 여성 비중은 2015년 17.5% 대비 2.5%p 증가한 20.0%임

목록

담당부서

  • 행정국 정보통신과 빅데이터통계팀 
  • 055-639-4031

최종수정일 : 2021-12-1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인포존 이미지 크게보기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