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안내
시민중심 희망의 새로운 거제
그동안 전염병예방과 위생해충을 구제하기 위하여 지난 60년대부터 연막방역소독을 실시하여 왔으나 연막소독은 분무소독에 비해 해충구제 효율이 떨어지고, 소독방법이 소독약제와 경유나 등유를 혼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소시켜 연기를 뿜어내기 때문에 맑은 공기를 향유하려는 일부 시민 및 환경단체로부터 반론이 제기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우리시에서는 연막소독은 풀숲지역, 공원, 지하의 밀폐된 공간. 복개하천개구부 등 모기가 은신하고 있는 취약지역만 실시하고, 고지대, 골목길에서도 원활한 소독이 가능한 분무소독을 강화하는 한편, 하수구, 웅덩이 등 모기유충 서식지에 대하여 다른 생태계는 파괴되지 않고 모기유충만 살상시켜 번식력을 근본적으로 억제 차단하는 유충소독에 역점을 두어 과학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방역소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전염병 발생예방을 위하여 취약지역 등에 대한 방역소독을 실시함으로써 파리, 모기 등 위생해충을 구제하고 있으며, 특히, 전염병이 유행하는 하절기에는 분무소독과 유충구제로 집중적인 방역활동을 실시합니다.
구분 | 분무소독 | 연막소독 | 유충구제 |
---|---|---|---|
장점 | 해충 서식지나 출현장소에 직접 소독액을 살포, 접촉작용하여 치사시키는 방법으로 살충효과가 크다. 높은 열에 의한 살충제 입자파괴가 없으므로 보다 좋은 구제효과를 발휘한다. 연막형성이 없으므로 차량이나 왕래하는 사람에게 교통상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 |
살포면적이 넓다. 숲이 우거진 지역과 같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지역에서도 깊숙이 살충제 입자가 도달할 수 있다. 지하공간과 같은 밀폐된 곳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
모기유충을 구제하므로 성충의 원천적인 방제효과가 있다. (유충 1마리 구제로 500마리 박멸효과) 환경오염이 없다. 유충서식지 제거 등 주민 참여가 용이하다. |
단점 | 살포 면적이 좁다. | 가열성, 휘발성이므로 살충제일부가 파괴되어 약효 감소,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소독시간에 제한(일몰후, 일출전 소독)을 받는다. 연막형성으로 교통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
유충구제제 가격이 다소 비싸다. 유충서식 유무 조사에 많은 인원이 소요된다.(주민협조 필요) |
담당부서
최종수정일 : 2019-12-06